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98
한자 靑松地域-信仰, 洞祭-傳承樣相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집필자 이창언

[개설]

경상북도 청송군의 여러 자연 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 무렵에 마을의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내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였다. 단오유두 혹은 백중 무렵에도 동제를 지내는 곳이 있으나, 대체로 정월대보름을 전후하여 동제를 지내고 있다. 한 해를 새롭게 시작하는 정월에는 부터 대보름 직전까지 각종 금기와 의례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금기나 의례는 개인이나 가정 단위로 행하다가 대보름이나 그 전날인 열나흗날에는 생활공동체를 형성한 자연 마을의 수호신에 대한 제의로 이어졌다. 마을 사람 모두 정성을 다하는 동제는 정초의 금기가 절정에 달한 시기에 수행되었으며, 그해 마을의 운명이 걸린 일인 만큼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적인 구조에서 엄격한 금기를 수반하였다.

근래 청송군 지역에서는 노령화와 인구 유출로 인한 과소화에 따른 전승 기반의 약화로 동제는 간소화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동제의 간소화 양상은 제당 숫자의 축소, 제의 절차의 간소화, 금기 수행 기간의 단축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중단했던 동제를 재개하는 등 동제를 지속하고자 하는 노력도 찾아볼 수 있다.

[청송 지역 동제의 신당 및 신체]

청송 지역에서는 동제를 지내는 제당을 대체로 당이라 부르며, 신격은 할아버지신, 할머니신, 동신, 당신 등 다양하다. 청송 지역에서는 한 마을에서 동제를 지내는 제당이 두 곳 이상인 경우가 많다. 동제를 지내는 제당은 마을에서 상당, 중당, 하당 등으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경우 상당은 산신을 모시는 산신당, 중당은 마을의 주신을 모시는 동제당, 하당은 마을 입구에서 제액의 기능을 담당하는 골맥이당으로 구분되었다. 청송 지역에서도 이를 반영하듯 다수의 제당을 설치한 마을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동제를 중단하거나, 한곳으로 통합하여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청송 지역에서는 동제의 신격을 남녀로 구분해 제를 지내는 사례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청송읍 청운리 청운마을에서는 마을 서쪽 산 말단부의 암당이라 불리는 소나무와 당집인 수당 등 두 곳의 제당에서 차례로 동제를 지냈다. 진보면 시량2리 시릿골마을에는 마을 북쪽 입구에 있는 언덕의 위와 아래에 당목이 있다. 이 마을의 신격은 한 위의 할아버지신과 두 위의 할머니신이며, 동제를 지낼 때 메를 세 그릇 올리고 있다.

이처럼 마을에 다수의 제당을 모시는 곳이 있는 반면에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동제가 간소화되는 과정에서 마을의 여러 제당 또는 여러 마을의 제당을 한곳으로 합사하여 동제를 지내는 사례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아랫화장, 웃화장, 한티, 무덤실, 체내골 등 다섯 개의 자연 마을로 구성된 부남면 화장리의 경우, 마을마다 동제를 지냈으나, 1980년대 무렵부터는 화장리의 웃화장마을과 아랫화장마을의 제당을 웃화장마을의 제당과 합사하여 동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근래에 이르러 화장리의 인구 감소로 인해 한티와 무덤실, 체내골 등 인구가 적은 마을도 웃화장마을의 제당과 통합하여 동제를 지내고 있다.

마을의 제당에서 모시는 동신의 신체는 자연물과 인공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물인 경우 노거수나 기암괴석이 가장 흔하며, 인공물로는 돌탑, 입석, 당집 등이 있다. 청송 지역에서는 오래된 나무를 신체로 모시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동제의 신체로 이용되는 나무를 당목 또는 당나무라 부르는데, 수종으로는 느티나무가 가장 많고, 그다음이 소나무이다. 마을의 당목 중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사례가 많다. 부남면 대전3리 나실마을의 당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당나무 인근에 마을 사람들이 쉴 수 있게 정자를 설치하여 쉼터로 꾸몄다.

청송 지역에서 인공물을 신체를 모시는 사례는 당집의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당집은 민간신앙에서 마을 신의 위패나 신체를 모신 집을 의미하는데, 몇몇 당집은 정성스레 건립되어 보전되고 있다. 예컨대 청송군의 행정시설이 밀집된 청송읍 월막2리에서는 용전천 건너 현비암 정상에 당집을 두고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제를 올린다. 당집인 ‘현비암 성황당’은 청송군의 향토문화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성황당[서낭당]과 관련하여 승천하지 못하고 바위가 된 용을 달래기 위해 당집을 짓고 제사를 지내기 시작했다는 전설이 있다.

또한, 청송 지역에서는 현몽을 통해 자연물을 이용한 신체를 인공물로 변경한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파천면 송강2리 목계마을의 경우, 본래 마을 중앙과 입구에 있는 두 그루의 당목을 신체로 모시고 있었으나, 마을 사람이 당집을 지으라는 산신의 꿈을 꾼 이후 마을 서쪽에 당집을 짓고, 두 신격을 산신과 함께 당집에 합사하였다. 목계마을의 당집은 흙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흙담 바깥에 돌탑을 조성해 두었다. 최근 당집과 돌탑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철제 울타리를 둘렀다.

동제를 지내는 신체를 자연물에서 인공물로 변경하면서 옛 전통이 간소화되거나 폐지되는 사례도 있다. 주왕산면 항리 원구리마을에서는 2005년경 당집을 조성하기 전까지 두 그루의 소나무를 당목으로 모셨다. 이 마을에는 예로부터 단옷날에 당목에 그네를 매지 않으면 마을에 해가 생긴다고 하여 매년 줄을 매고 그네를 뛰었다. 그러나 당집을 조성한 이후 그네를 매는 일도 동시에 중단되었다.

당집 외에도 신체로 이용되는 인공물로는 돌을 쌓아 만든 돌탑이 있다. 돌탑은 자연석을 원통형, 원추형, 사다리꼴 형태 등으로 쌓아 올린 돌무지를 가리킨다. 이러한 돌탑은 조산이라고도 한다. 청송 지역의 몇몇 마을에서도 돌탑을 신체로 하여 마을의 신을 모시고 있다. 청송 지역에서 발견되는 돌탑들은 대체로 마을의 입구에 있어, 비보풍수(裨補風水)의 성격을 겸하는 제당이다. 이러한 돌탑은 마을의 좋은 기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액을 물리치는 기능을 하는 수구막이의 성격을 지닌다. 파천면 신기2리 감곡마을 입구에는 진입로 양측에 큰당과 작은당으로 불리는 두 기의 돌무더기가 있다. 이 두 돌무더기 사이에 도로가 놓였지만, 동제를 지낼 때는 제관 외에 다른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을 금하고 있다. 특히, 상여는 이 도로를 통과할 수 없다. 마을에서는 신체에 대한 금기를 지키기 위해, 큰당 옆에 우회로를 설치하였다. 파천면 신흥1리 상덕천마을에서는 마을 북쪽 숲에 돌탑을 모시고 동제를 지내는데, 이를 수구막이로 인식하여 보호하고 있다.

산간 지역인 청송 지역의 특성상 동제를 지낼 때 산신을 함께 모시거나, 마을 신의 남성 신격이 산신인 경우도 적지 않다. 진보면 기곡리 텃골마을에서는 동제에 앞서 산이 있는 방향을 향해 산신제를 지낸다. 현서면 사촌리 오음마을에서는 동제를 지낼 때 산신 몫의 메와 갱을 한 그릇씩 더 올리고 산신을 함께 위한다. 청송읍 월외1리 달기마을에서는 할아버지당인 당바우의 신격을 산신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부남면 화장리 웃화장마을에서는 당집에 산신도를 모시고 있다.

[청송 지역 동제의 제의]

동제의 제의 절차는 형식상으로 무속형, 유교형,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속형은 제관 선정에서부터 제의 절차까지 마을굿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제의를 가리킨다. 유교형은 가정에서 지내는 기제나 묘제와 같이 유교적 가례에 따르는 방식을 가리킨다. 혼합형은 이 두 가지 형식을 혼합한 것을 가리키며, 드물게 불교형까지 포함하는 사례도 있다. 청송 지역의 동제는 대체로 간소화된 유교형이 많으나, 무속형의 풍습이 합쳐진 혼합형의 제의도 몇몇 곳에서 전승되고 있다. 원래 고형으로 간주되는 무속형 제의가 유교형 제의로 변경된 것에 대해 기억하는 지역민들이 많다.

주왕산면 주산지리 이전마을에서는 한때 동제가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는데, 제물에 돼지 머리를 올린다거나 제의 절차 등으로 미루어 이 마을의 동제는 전형적인 무속형 제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이 되면 제관은 당집 앞에 장작불을 피워 놓고 제물을 진설한다. 제물은 백찜[떡의 한 종류인 백설기를 뜻하는 청송 방언] 한 시루, 돼지머리, 어물, 삼실과, 나물, 밥, 냉수 등이며, 예전에는 근처의 청송장에 가서 제수를 구입했지만, 최근에는 제수 음식 업체에서 구입하고 있다. 초저녁 이후 마을 사람들은 수시로 개인적으로 방문해 절을 하고, 제관은 그동안 밖에 피워놓은 불이 꺼지지 않게 한다. 자정이 가까워지면 철상한 뒤에 풍물패와 함께 마을로 돌아간다. 과거에는 두 달 동안 금기를 수행하는 등의 정성을 들였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지금은 행하지 않는다.

이전마을의 동제는 한때 중단되었다가 이장이 제관을 전담하고 제수 마련과 제의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재개되어 과거에 비해 간소화되었다. 그러나 이 마을의 동제는 청송 지역에서 옛 형태를 찾아볼 수 있는 드문 사례로서 그 보전 가치가 높다. 무당에 의한 굿이나 주산지리처럼 마을굿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무속형 제의를 전승하는 곳은 드문 편인데, 대부분 유교형 제의로 변경하거나 중단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현서면 화목2리 원화목마을에서는 매년 단옷날 자시 무렵에 마을 입구의 당나무에서 동제를 지냈다. 이 마을에서 단옷날 동제를 지냈던 것은 제당의 기가 강하기 때문이었다. 이에 연중 양기가 가장 강한 단옷날에 무당으로 하여금 당굿을 통해 동제를 지냈다. 이런 방식의 제의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자 1970년대 유교형 제의로 변경하였다.

한편, 청송읍 월막2리에서는 전형적인 유교식 동제를 지내고 있다. 마을의 이장, 유사, 총무가 제관을 맡고, 부녀회에서는 밥, 탕국, 백찜, 돔베기, 고등어, 문어, 쇠고기, 대추, 밤과 과일, 나물과 술 등의 제물을 준비한다. 제수가 장만되면 현비암 정상부에 있는 당집으로 올라가 강신, 초헌, 독축, 아헌, 종헌, 소지의 순으로 제의를 진행한다. 제의가 끝나면 당집의 문을 잠근 뒤 제물 일부를 한지에 싸서 나무 밑에 놓아둔다.

[청송 지역 동제의 전승 현황]

청송군의 대다수 마을은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의 마을 제의를 지속하기 힘든 현실적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다. 이처럼 동제의 전승 기반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동제를 지속하는 마을에서도 제의를 간소화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동제의 간소화는 주로 제관 선정과 금기 수행, 제수 장만과 제의 절차에서 나타나고 있다. 마을 회의를 통해 선정하던 제관은 이장을 비롯한 지역공동체의 간부가 전담하는 곳이 늘고 있다. 금기 수행 기간 또한 길게는 일주일에서 짧게는 하루나 사흘 정도로 대폭 단축되었고, 그 엄격함도 완화되었다. 직접 돼지나 닭을 도축하여 마련하던 제물은 시장에서 구입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제물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침묵을 지키거나 가격을 흥정할 수 없다는 금기도 완화하는 마을이 늘고 있다. 제의를 수행하는 일시 또한 추운 정월 보름 무렵에서 양력 8월 15일 오전으로 변경하여 풋구를 겸하는 마을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간소화는 현실적 문제와의 타협임과 동시에, 동제를 지속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동제를 지속하고자 하는 마을 사람들의 노력이 합치된 결과이다. 동제 지속을 위한 노력은 제의 참여자를 변경하는 형태로도 나타난다. 부남면 대전3리 나실마을에서는 과거에 노년층 남성들만 제의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전승 기반 확충을 통해 전통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귀촌한 젊은 부부들을 동제에 참여시키고 있다. 부남면 하속2리 갈미마을의 동제는 2000년대에 이미 중단되었으나, 2015년부터 고령의 여성 주민 두 가구가 개인적으로 동제를 재개하였고, 2017년부터는 외지에 사는 남성 한 사람이 정월 보름에 찾아와 함께 동제를 지내고 있다. 주왕산면 하의리 하의마을의 경우, 이미 기존 주민들의 동제가 중단되었으나, 당나무가 있는 토지를 귀촌한 가구가 매입하여, 그곳을 정비하고 개인 신앙의 형태로 동제를 지속하고 있다. 이처럼 동제를 지속, 보존하기 어려운 상황임에도 동제를 지속하기 위한 청송 지역 마을 사람들의 노력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12 행정지명 현행화 이전리 -> 주산지리
2019.04.05 행정지명 현행화 부동면 -> 주왕산면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