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378
한자 佛畵
영어공식명칭 Buddhist Paintings
이칭/별칭 탱화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집필자 박병선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불교의 종교적인 이념을 표현한 그림.

[개설]

불화(佛畵)는 불교의 내용을 쉽게 표현하고 널리 전하기 위해 제작한 그림으로, 탱화(幁畫)와 영정(影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청송군에 있는 각 사찰의 전각(殿閣)에도 대부분 불화를 봉안하고 있다. 청송 지역의 주요 불화로는 대전사 보광전 탱화, 대전사 명부전 지장탱화, 대전사 주왕암 나한전 후불탱화, 보광사 탱화가 있다. 또한 대전사 백련암(白蓮庵)에는 백련암 사명대사 영정이 있다.

[불화의 종류]

불화는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서도 천이나 종이 바탕에 불교 신앙의 내용을 압축하여 그림을 그린 다음 족자나 액자로 만든 불화를 탱화라고 한다. 탱화는 만드는 방법이 다른 불화에 비해 훨씬 쉽고, 벽화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옮길 수 있으므로 밖에서 불교 행사를 열 때 걸어 두고 사용할 수 있어서 많이 그려졌다. 특히 조선 후기에 들어와 임진왜란병자호란 등 전쟁으로 파괴된 절들을 새로 고쳐 지으면서 불화가 많이 그려졌는데, 이때 주로 이용한 방법이 탱화였다.

탱화의 종류를 크게 상단탱화, 중단탱화, 하단탱화로 구분할 수 있다. 상단탱화는 후불탱(後佛幀)이라 불린다. 주존불상(主尊佛像)의 뒤 벽면에 거는 그림으로서 주존불상을 그림으로 설명, 표현한 것인데 주존불이 석가상이면 ‘영산회상탱(靈山會上幀)’, 아미타불상이면 ‘극락정토회상탱(極樂淨土會上幀)’, 비로자나불상이면 ‘삼신불탱(三身佛幀)’이 걸리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존불상 좌·우측에 중단탱화와 하단탱화가 봉안되는데, 중단탱화는 보통 신중탱(神衆幀)이, 하단탱화는 감로탱(甘露幀)이 봉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청송 지역의 불화]

대전사에는 주 불전인 보광전에 후불탱화로 영산회상탱, 좌·우측에 신중탱과 지장탱(地藏幁) 등 대전사 보광전 탱화가 봉안되었다. 그러나 2000년 9월에 모두 도난 당하여 현재 보광전의 탱화는 도난 이후 그린 모사본이 봉안되어 있다. 도난된 보광전 탱화 중 신중탱화는 2014년에 회수하여 2017년 4월에 교구본사인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보관하여 전시 중이다. 대전사 명부전에는 후불탱화로 대전사 명부전 지장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대전사 명부전 지장탱화는 1806년에 제작되었으며, 2004년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68호로 지정되었다.

대전사의 산내 암자인 대전사 주왕암 나한전에도 후불탱화인 영산회상탱과 좌측에 신중탱 등 대전사 주왕암 나한전 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대전사 주왕암 나한전 탱화는 1800년에 제작되었으며, 2004년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70호로 지정되었다. 청송 보광사 극락전(極樂殿)에도 후불탱화와 좌·우측에 지장탱과 산신탱 등 보광사 탱화가 봉안되어 있는데, 이는 1993년, 1981년, 2014년에 각각 제작된 모사본이다. 원본 탱화는 현재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탱화 이외에 불화의 하나인 진영(眞影)도 제작 봉안되었는데, 대전사의 산내 암자인 백련암에는 백련암 사명대사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사명대사는 호국불교의 상징으로 현재 전국의 많은 사찰에서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이 밖에도 청송 지역 각 사찰에는 전각이나 주존불에 알맞은 탱화를 제작하여 봉안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