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선녀 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1814
한자 仙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집필자 박정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12월 - 「선녀 바위」 『순창의 구전 설화』상에 수록
성격 암석 유래담|지형지물담|신이담
주요 등장 인물 선녀|신선
모티프 유형 비단 짜는 선녀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답동리 신기 마을에서 선녀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선녀 바위」답동리 신기 마을 뒷산의 널따란 바위에 선녀들이 내려와 비단 틀을 놓고 비단을 짜던 곳인데, 여기에는 끄실코의 자국과 요강 바위가 있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특히 주변의 신선봉과 어우러져 비단 짜는 선녀를 돕는 신선과 선녀의 승천, 그리고 물을 품어서 비가 오도록 하는 요강 바위 등은 지형지물의 생김새나 배치를 기반으로 하여 민중들이 만들어 낸 지형지물담이자 신이담이라고 할 수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12월 양상화가 엮어 순창 문화원에서 간행한 『순창의 구전 설화』상의 209~211쪽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복흥면 답동리 신기 마을 뒤편에는 수리봉이라고 하는 봉우리가 있고, 남쪽으로는 신선봉이라는 봉우리가 있다. 이 두 봉우리 사이에 널따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선녀 바위이다.

아득한 옛날 이 바위에 선녀들이 내려와 비단을 짜서 선녀들의 옷을 만들어 입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어 선녀 바위라고 한다. 비단을 짜기 위해서는 먼저 비단의 씨줄을 늘여 놓은 뒤 이것을 도투마리에 감아야 한다. 씨줄을 감은 도투마리를 비단 틀에 올려놓고 북에 들어 있는 날줄을 이용해 비단을 짜게 되는데, 이때 끄실코를 이용하여 씨줄과 날줄이 교차할 수 있도록 끌었다 놓았다를 반복하여 비단을 짜게 된다. 이 끄실코의 자국이 바위에 남아 있다고 한다. 또한 선녀들이 이곳에서 비단을 짜면서 생활하였는데, 바위의 한쪽에 선녀들이 오줌을 쌌던 곳이 웅덩이처럼 패여 있으며, 이것을 요강 바위라 한다.

근처 봉우리에는 신선이 살면서 선녀들을 돕기 위하여 말을 타고 왔다 갔다 하였는데, 그래서 이 봉우리를 신선봉이라 부르게 되었고, 이 바위 위에는 말 발자국이 선명히 남아 있다. 이곳에서 살았던 선녀와 신선들은 비단을 다 짠 뒤에는 하늘로 승천하였다고 한다.

가뭄이 들어 농사짓기가 힘들어지면 사람들은 이 바위에서 기우제를 올렸는데, 이 바위에서 기우제를 올리면 반드시 비가 내렸다고 한다. 또한 기우제를 올리지 않고 요강 바위에 고인 물을 품기만 하여도 비가 왔기에 가뭄이 있을 때마다 요강 바위에 고여 있는 물을 품어서 비가 오도록 하였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선녀 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비단 짜는 선녀’이다. 「선녀 바위」의 배경이 되는 소재는 수리봉, 신선봉, 선녀 바위, 요강 바위 등 지형과 관련된 것이다. 지형지물담은 주변의 봉우리나 바위의 생김새, 배치 등을 토대로 하여 이를 신비스러운 이야기로 엮어 내는 것인데, 「선녀 바위」는 이런 전형적인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가뭄이 있을 때 요강 바위에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내린다는 「선녀 바위」는 요강 바위의 신비성을 더욱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