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령 신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872
한자 高靈申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 시기/일시 1456년 - 고령 신씨 입향조 신말주 순창 입향
세거|집성지 고령 신씨 세거지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지도보기|인계면 세룡리지도보기|적성면 대산리지도보기
성씨시조 신성용(申成用)
입향시조 신말주(申末舟)

[정의]

신성용을 시조로 하고 신말주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순창군 세거 성씨.

[개설]

고령 신씨(高靈申氏)신성용(申成用)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고령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순창 지역 고령 신씨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1429~1503]가 1456년(세조 2) 순창으로 낙향하여 순창읍 가남리 남산대 마을에 처음 정착한 이후 후손이 번성하여 순창의 명문이 되었다. 적성면 대산리인계면 세룡리에도 누대를 이어 온 고령 신씨 집성촌이 있는데, 모두 가남리 남산대 마을에서 이거해 간 신말주의 후손들이다. 2000년 통계청의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3만 6250가구, 11만 6966명이 거주하고 있다.

[연원]

고령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다. 본래 대가야국의 중심지였는데 신라 진흥왕(眞興王)이 이를 멸하고 대가야군이라 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 고양군이 되었다. 조선 태종(太宗) 때 고양군의 ‘고’와 영천현의 ‘영’을 따서 ‘고령현’이라 하였고, 1895년(고종 32) 성주 9개 면과 현풍 9개 면을 병합하여 고령군이 되었다.

고령 신씨 시조 신성용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고 검교 군기감을 역임하였다. 신성용의 선조는 신라의 공족으로 대대로 고령에 살면서 호장을 지내 왔으므로 후손들이 고령을 본관으로 하였다. 이후 신장(申檣)을 파조로 하는 암헌공파(巖軒公派), 신평(申枰)을 파조로 하는 정은공파(靜隱公派), 신제(申梯)를 파조로 하는 감찰공파(監察公派) 등 세 파로 갈렸다. 이 밖에 신인기(申仁杞)를 파조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가 있다. 고령 신씨는 조선 시대 상신 3명, 대제학 3명과 357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입향 경위]

순창에서 고령 신씨는 제일가는 명문으로 꼽힌다. 고령 신씨 집성촌은 순창읍 가남리 남산대 마을이며, 그 밖에도 집성촌이 두 개 더 있다. 남산대 마을은 순창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 있다. 원래 남산대 마을에는 고려 후기부터 순창 설씨(淳昌薛氏)가 세거하여 왔다. 그런데 조선 세종(世宗)신말주가 남산대 마을 설백민(薛伯民)의 딸과 혼인하여 순창 설씨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 뒤 신말주단종(端宗) 양위 직후 처가인 순창으로 낙향하면서 신씨의 역사가 시작된다.

신말주의 아버지인 암헌(巖軒) 신장(申檣)[1382~1433]은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셋째인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1417~1475]는 23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의 학사로서 한글 창제를 비롯한 많은 공을 세워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그 후 신숙주세조의 등극에 협조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 1등에 녹훈되고 고령 부원군(高靈府院君)에 봉하여졌으며, 영의정을 지냈다. 신말주는 막내로서 1454년(단종 2) 26세로 문과에 급제하여 헌납으로 있다가 단종이 선위하자 벼슬을 버리고 이곳 남산대 마을로 돌아와 귀래정(歸來亭)을 짓고 은거하였다. 그 후 형인 신숙주의 권유로 다시 관계에 나아가 대사간, 전주 부윤 등을 역임하였다. 신말주의 손자 이계(伊溪) 신공제(申公濟)[1469~1536]는 1495년(연산군 1)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판서, 우참찬을 역임하였으며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선조(宣祖) 연간 순창의 화산 서원(花山書院)신공제의 할아버지인 신말주와 함께 제향되었다.

또 남산대 마을 신씨에서 나온 인물로 죽당(竹堂) 신유(申濡)[1610~1665]와 초암(初庵) 신혼(申混)[1624~1656] 형제가 있다. 신유는 1636년(인조 14) 27세로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병자호란 뒤에 소현 세자(昭顯世子)봉림 대군(鳳林大君)이 청(淸)나라에 인질로 들어갈 때에 그 배신(陪臣)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뒤에 일본과 국교가 단절되어 있었는데,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가 조선과 국교를 맺고자 통신사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하자 조정에서는 신유 등을 일본에 보내 그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그 후 예조 참판에 올랐다.

신혼은 1644년(인조 22) 21세의 약관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한림을 거쳐 홍문관 교리에 이르렀는데, 33세로 요절하였다. 신혼은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다. 신혼의 아들 신선온(申善溫)은 1671년(현종 12)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한림, 사간원 정언을 거쳤으나 30세에 요절하였다.

신유의 종증손인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1712~1781]은 1754년(영조 30) 문과에 급제하여 승정원 좌승지를 지냈다. 신경준은 박학다식한 실학자로서 천문, 지리, 역법, 복술, 의학, 역학 등에 밝았다. 저서에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 『팔도 지도(八道地圖)』, 『소사 문답(素砂問答)』,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 『강계지(疆界志)』, 『도로고(道路考)』 외 『여암 전서(旅庵全書)』가 있다.

[현황]

2000년 현재 순창 지역 고령 신씨는 197가구, 44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89년 순창군에서 실시한 인구 통계 자료에 따르면 당시 순창 지역 고령 신씨순창읍 가남리 남산대 마을에 21가구, 적성면 대산리 대산 마을에 15가구, 인계면 세룡리 세룡 마을에 33가구가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고 있다.

순창읍 가남리 남산대 마을에 세거하는 신씨는 수많은 인물을 배출한 전통 있는 가문이었다. 그러나 산업화, 현대화가 된 뒤로는 남산대 마을도 변화가 있어 옛 자취가 많이 잊혀지고 사라졌다. 다만 마을 앞 귀래정이 옛 모습대로 남아 있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을 받았고, 설씨 부인·신경준 선생 유지[귀래정 신말주 후손 세거지]가 전라북도 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되었으며, 귀래정 아래에 남산사(南山祠)에서 선조들을 제향하고 있다.

[관련 유적]

설씨 부인 권선문(薛氏夫人勸善文)이 보물 제728호로 지정되어 있다. 설씨 부인 권선문은 조선 단종 때부터 성종(成宗) 때까지 문신으로 활약한 신말주의 부인 설씨가 선(善)을 권장하는 내용을 담아 쓴 글과 그림이 있는 문서로, 조선 시대 여류 문인이 쓴 필적으로는 가장 오래되었다. 현재 국립 전주 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순창읍 남산길 32-3에 신경준의 고지도(申景濬의古地圖)가 있다. 신경준의 고지도는 조선 영조(英祖)신경준이 군사도 형식으로 작성한 2매의 지도로, 「북방 강역도」와 「강화도 이북의 해역도」이다. 1979년 12월 27일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어 고령 신씨 귀래공파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1992년 6월 20일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된 신말주 선생의 십로계첩(申末舟先生의十老契帖)은 계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 첩(帖)인데, 계를 맺은 연유, 목적, 성격, 활동 등이 기록되어 있다. 신말주의 후손 신길수가 소유자이며, 신광희가 관리 중이다.

1994년 8월 10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된 설씨 부인·신경준 선생 유지[귀래정 신말주 후손 세거지]신말주와 정부인(貞夫人) 설씨를 비롯하여 신경준신말주의 후손들이 살았던 곳으로 순창읍 남산길 32-3에 있다. 순창읍 가남리 538-1번지에 있는 귀래정신숙주의 아우인 신말주가 1456년 순창으로 낙향하여 지은 정자로, 지금 있는 건물은 1974년에 고쳐 지은 것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안쪽에 서거정이 지은 「귀래정기」와 강희맹의 시문을 보존하고 있다. 1975년 2월 5일 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67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