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900815 |
---|---|
한자 | 龜岩寺浮屠殿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길 131-144[봉덕리 374]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양은용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634년 - 구암사 창건 |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07년 - 설파 상언 출생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767년 - 백파 긍선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791년 - 설파 상언 사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852년 - 백파 긍선 사망 |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 1870년 - 석전 한영 출생 |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 1948년 - 석전 한영 사망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7년 - 구암사 복구·재건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9년 - 구암사 실화(失火)로 소실 |
복원 시기/일시 | 1972년 - 구암사 부도전 복구 |
현 소재지 | 구암사 -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길 131-144[봉덕리 374] |
성격 | 부도군 |
관련 인물 | 설파 상언(雪坡尙彦)[1707~1791]|백파 긍선(白坡亘璇)[1767~1852]|석전 한영(石顚漢永)[1870~1948] |
크기(높이) | 1.2m[설파 상언과 백파 긍선 등의 옛 부도]|1.5m[석전 한영 등의 새로 조성된 부도] |
소유자 | 구암사 |
관리자 | 구암사 |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리 구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승려의 부도군.
[건립 경위]
구암사(龜岩寺) 입구에 있는 부도전에는 조선 후기부터 구암사에 주석하였던 고승들의 부도 7기가 전한다. 구암사는 634년(무왕 35)에 창건된 절로 수많은 승려들의 부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세월이 흐르면서 많이 유실되었다. 더구나 6·25 전쟁 때 빨치산 토벌 작전으로 법당 및 요사 등이 모두 소각되었다. 1957년에 사찰을 복구·재건하였으나, 1959년에 다시 실화(失火)로 경내 전체가 소실되었다. 이후 1972년에 법당과 요사를 복구할 때 현재의 부도전이 조성되었다.
[위치]
구암사 부도전(龜岩寺浮屠殿)은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리 구암사 입구의 약 100m 전방 산길 왼쪽 위에 위치한다.
[형태]
선(禪)·화엄(華嚴)·율(律)에 뛰어났던 설파 상언(雪坡尙彦)[1707~1791], 백파 긍선(白坡亘璇)[1767~1852] 등의 옛 부도는 1.2m 정도의 탑형(塔形)이며, 석전 한영(石顚漢永)[1870~1948] 등의 새로 조성된 부도는 1.5m 정도의 종형(鐘形) 형태이다.
[현황]
구암사 부도전의 전각은 없으며, 경사면에 2단의 돌계단을 쌓고 그 위에 부도를 세웠다. 구암사 부도전 내에는 현재 설파 상언 부도 등 7기가 세워져 있으며, 김정희(金正喜)가 써서 선운사 부도전(禪雲寺浮屠殿)에 위치한 이른바 ‘대기대용비(大機大用碑)’로 일컬어지는 백파 긍선 비(白坡亘璇碑)가 복원되어 있다. 『(한국 전쟁 피해 조사 보고서)한국 전쟁과 불교 문화재』Ⅳ-전라북도 편에 의하면, 구암사 재산 목록에 입형(立形)의 석제 부도가 7기라 하였으므로, 나머지 3기의 부도도 어딘가에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설파 상언 등의 탑형 부도를 말하며, 석전 한영 등 새로 건립된 종형의 부도는 그 이후에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