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709
한자 鄭光佐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3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서홍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467년 - 정광좌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520년 - 정광좌 사망
건립 시기/일시 1522년연표보기 - 정광좌 묘비 건립
현 소재지 정광좌 묘비 현 소재지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36 지도보기
성격 묘비
관련 인물 정광좌(鄭光佐)[1467~1520]
재질 화강암[대석]|대리석[비신·개석]
크기(높이,너비,두께) 비신 117㎝[높이]|54㎝[너비]|20㎝[두께]
소유자 동래 정씨 종중
관리자 동래 정씨 종중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에 있는 조선 전기 정광좌의 묘비.

[개설]

정광좌(鄭光佐)[1467~1520]는 본관이 동래(東萊)이며, 자(字)는 양경(良卿)이다. 할아버지는 내산 부원군 직제학공 정사(鄭賜)이고, 아버지는 좌리공신(佐理功臣) 동래군 정란종(鄭蘭宗)이다. 부인은 광산 김씨(光山金氏)로 김극뉴(金克忸)의 딸이다. 종부시 주부·흥덕 현감·김제 군수·안산 군수 등을 지냈으며, 동래 정씨(東萊鄭氏) 안산공파의 파조가 되었다.

[건립 경위]

조선 시대에는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 풍속으로 처가와 매우 밀접하였으며, 처가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 때문에 장인인 김극뉴의 묘소 아래에 묘를 쓰게 된 것으로 보인다. 묘비는 정광좌가 세상을 떠난 지 2년 후에 세웠는데, 새로 건립한 비가 옆에 또 있다.

[위치]

순창 읍내에서 전주 쪽으로 가는 길에 인계면이 있다. 인계면에서 우측으로 적성면을 향하다가 가성리 순창 수목원을 지나면 마흘리가 나온다. 마흘리 앞 도로변에서 좌측으로 뾰족하게 우뚝 솟은 용마산 아래 남쪽 방향 나지막한 곳에 김극뉴의 묘소가 있고, 그 아래에 정광좌의 묘소와 묘비가 있다. 주소지는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36번지이다.

[형태]

비신(碑身)의 규모는 높이 117㎝, 너비 54㎝, 두께 20㎝이다. 화강암의 방형 대석(臺石)에 연꽃무늬를 새겼다. 비신과 개석(蓋石)을 한 돌로 조각하였으며, 비신과 개석의 재질은 대리석이다. 특히 개석의 연꽃무늬가 아름답게 새겨진 조선 전기의 묘비 양식이 잘 나타나는 석조물이다.

[금석문]

비의 전면에 ‘통훈대부 행안산 군수 정공 지묘(通訓大夫行安山郡守鄭公之墓)’, ‘숙인 광주 김씨 지묘(淑人光州金氏之墓)’라고 두 줄로 해서체로 새겼다. 좌우 측면에 각각 세로로 5행 34자와 후면에 세로로 16행 34자씩 해서체로 음기(陰記)를 새겼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정광좌의 정광좌의 맏형 정광보의 아들 정사룡(鄭士龍)이며, 글씨를 쓴 사람은 성균 생원 진준(陳儁)이다.

[현황]

묘비를 세운 지가 50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고, 비신이 마모가 쉬운 대리석으로 되어 있는데다 비각이 없이 비바람에 노출되어 마멸이 심하다. 현재 절반 정도의 글자는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동래 정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정광좌 묘비는 조선 전기의 양식을 매우 잘 보여 주는 석조물로 조각 수법이 뛰어나다. 또한 풍수지리상 좋은 자리로 소문난 곳이며, 명망 있는 후손이 많이 태어나 답사객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 유명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6.19 비문을 지은이 수정 비문을 지은 사람은 정광좌의 아들 정사용(鄭士龍)이며… -> 비문을 지은사람은 정광좌의 맏형 정광보의 아들정사룡(鄭士龍)이며...
이용자 의견
一***** 금석문 설명중에
비문을 지은 사람은 정광좌의 아들 정사용(鄭士龍)이며를 ->비문을 지은사람은 정광좌의 맏형 창원부사를 지낸 정광보의 둘째아들로 대제학을 지낸 정사룡(鄭士龍)이며로 정정 바랍니다.
(동래정씨 창원공파보 참조하세요)
  • 답변
  • 디지털순창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 수정 반영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01.0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