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애세고』 및 책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56
한자 玄厓世稿-冊板
분야 구비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보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07년연표보기 - 『현애세고』 간행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간행처 방호정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방호정로 126-26 지도보기
성격 문집|책판
저자 조익섭|조기수|조관호|조태호|조겸호
간행자 조규진
권책 9권 4책
행자 10행 19자
규격 문집 세로 31㎝|가로 19㎝
어미 내향 화문 어미
판심제 현애세고(玄厓世稿)

[정의]

1907년에 간행된 함안조씨 가문 명현들의 시문집과 책판.

[개설]

조선 후기 경상북도 청송 출신의 함안조씨(咸安趙氏) 명현들의 글과 사적을 엮어 1907년 간행한 문집이다. 책판은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방호정(方壺亭)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

조익섭(趙翼燮)[1745~1828]의 본관은 함안으로 자는 명언(明彦) 호는 영시헌(永矢軒)이다. 조기수(趙基壽)[1770~1845]의 본관은 함안으로 자는 대지(大之), 호는 면유재(面柳齋)로 조익섭의 아들이다. 조관호(趙觀祜)[1792~1866]의 본관은 함안으로 자는 성약(聖若) 호는 성포(城圃)로 조기수의 아들이다. 조태호(趙泰祜)[1800~1879]의 본관은 함안으로 호는 간와(艮窩), 조기수의 아들이다. 조겸호(趙謙祜)[1812~1829] 본관은 함안으로 자는 경윽(景益)‚ 호는 묵은(黙隱)으로 조기수의 아들이다.

[편찬/간행 경위]

『현애세고(玄厓世稿)』함안조씨 가문에 전해 내려오는 3대 5인의 유문을 모아 한데 엮은 함안조씨 세고(世稿)이다. 후손 조규진(趙奎震) 등이 선조의 유고가 간행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친지들의 도움을 받아 1907년에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현애세고』 문집은 목판본으로 9권 4책으로 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에 계선(界線)이 있으며, 내향 화문 어미(內向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19㎝, 세로 31㎝, 반곽은 가로 15.4㎝, 세로 18.6㎝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19자로 되어 있다. 문집은 2017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현애세고』 책판은 현재 101장이 남아 있다.

[구성/내용]

『현애세고』는 9권 4책으로 1897년 김도화(金道和)가 쓴 서문과 1907년 서효원(徐孝源)이 쓴 발문이 있다. 권1은 조익섭의 시문을 모은 「영시헌일고(永矢軒逸稿)」이다. 시로 「제벽상시아손(題壁上示兒孫」 등 8수가 있고‚ 「상항암중형(上恒菴仲兄)」‚ 「제금진옥문(祭金振玉文)」‚ 「제백형미헌공문(祭伯兄微軒公文)」이 있다. 부록으로 유사와 묘지명이 있다.

권2‚ 3은 조기수의 시문을 모은 「면류재일고(面柳齋逸稿)」이다. 「면류가(面柳歌)」‚ 「갑진원일제신력(甲辰元日題新曆)」 등 46수가 있다. 이외에 편지글 8편, 잡저 4편 등이 있다. 권3에는 「백형미헌부군유사(伯兄薇軒府君遺事)」‚ 「중부항암부군유사(仲父恒庵府君遺事)」가 있다. 부록으로는 이정서(李鼎書) 등 5인이 쓴 만사(挽詞)가 있고‚ 신치구(申致龜) 등 4인이 쓴 제문(祭文)이 있다.

권4는 조관호의 「성포일고(城圃逸稿)」이다. 시(詩)로 「여제제용강절타괴운(與諸弟用康節打乖韻)」 등 31수가 있다. 이 외에 편지글 3편, 애사 1편, 제문 8편이 있다. 부록으로 이형수(李亨秀) 등 6인이 쓴 만사와 족질(族姪)인 용진, 성립이 쓴 제문이 있다.

권5~8은 조태호의 시문을 모은 「간와일고(艮窩逸稿)」이다. 권5에는 「원조청신계(元朝聽晨鷄)」‚ 「만금경휴(挽金景休)」 등 시 94수가 수록되었다. 권6은 「창절사추배상언(彰節祠追配上言)」으로 시작한다. 이 외에 편지글 29편, 잡저 8편, 3편의 서문이 있다. 또 「사재기(思齋記)」 등 기(記) 2편‚ 「서류인백경모록후(書柳仁伯景慕錄後)」 등 발(跋) 3편이 있다. 권7은 「명륜당이건상량문(明倫堂移建上梁文)」‚ 「금대묘우상량문(金臺廟宇上梁文)」으로 시작한다. 제문 9편, 묘갈명(墓碣銘) 2편 등이 있다. 권8에는 「선고양와부군유사(先考陽窩府君遺事)」‚ 「족형처사인와공유사(族兄處士忍窩公遺事)」가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 김진임(金鎭林) 등 12인의 만사와 김면수(金勉壽) 등 4인의 제문이 있다.

권9는 조겸호의 시문을 모은 「묵은일고(黙隱逸稿)」이다. 「영설(詠雪)」‚ 「차민상관수연운(次閔尙觀睟宴韻)」 등 시 33수‚ 「여고계이장(旅古溪李丈)」 등 8편이 있다. 발, 제문 8편 등이 있다. 부록으로 묘갈명(墓碣銘), 유사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