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867
한자 李鉉圭
영어공식명칭 Lee Hyeongyu
이칭/별칭 내산(奈山),우해(于海),하현(夏玄),이능우(李能雨)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권영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4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이현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5년 11월 - 이현규 청송 주왕산 대전사에서 창의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이현규 오누지전투 참전 및 울진 죽변 왜관 격파
활동 시기/일시 1908년 - 이현규 의진 해산 후 은거
몰년 시기/일시 1917년연표보기 - 이현규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이현규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64년 - 의사내산이하현선생기념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1985년 - 이현규 독립운동기념비 건립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06년 4월 - 장수령전투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06년 4월 - 오누지전투
출생지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거주|이주지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활동지 경상북도 청송군
묘소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성격 의병
성별
대표 경력 의병장

[정의]

개항기 청송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개설]

이현규(李鉉圭)[1874~1917]는 1905년 11월 청송군 주왕산(周王山) 대전사(大典寺)에서 의병을 일으킨 뒤, 1906년 청송군 진보읍 오누지전투 참전과 울진군 죽변읍 왜관 격파 등으로 큰 전과를 거두었으나, 1908년 일본군의 추격과 고종의 의병 해산령 등으로 의진을 해산하고 은거하였다.

[가계]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하현(夏玄), 호는 내산(奈山) 또는 우해(于海), 이명은 이능우(李能雨). 1874년 11월 16일 경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에서 아버지 이수단(李壽檀)과 어머니 진성이씨(眞城李氏) 사이에서 4남매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이현규는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서둘러 청송 주왕산(周王山) 대전사(大典寺)로 들어가 뜻 있는 동지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여기서 이현규는 안동·청송·진보·영양의 4군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중군장(中軍將) 신형일(申衡一), 유시연(柳時淵), 군량도감(軍糧都監) 김대규(金大圭), 도포수(都砲手) 권대성(權大聲), 집사(執事) 조완이(趙完伊) 등으로 진용을 편성하고 각지에 통문을 보내 군사를 모집하였다.

강원도와 경상도 각지에서 많은 병사들이 모이자 이현규는 청송 주왕산과 봉화 청량산(淸凉山) 등지에서 훈련과 대오(隊伍)를 갖추고, 1906년 2월 울진 불영사(佛影寺)를 거쳐 영양군 입암면 교리에서 의진을 편성하였다. 그 뒤 울진군 근북면의 일본인 고하(古賀)로부터 총 1정과 돈 60량을 확보하는 등 울진, 평해 등지에서 군수와 무기 확보에 나섰다.

이현규는 1907년 3월 의병 50여 명을 이끌고 울진 죽변의 일본 해군 망루를 공격하여 격파하고 수비병 3명을 사살하였다. 같은 해 4월에는 청송군 진보의 장수령전투(長水嶺戰鬪)오누지전투에서 일본군 오장(伍長)[하사 계급] 무등(武藤)이 이끄는 부대를 크게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다. 또 5월에는 울진 죽변의 왜관(倭館)을 공격하여 격파하였다.

일본군은 이현규에게 거액의 현상금을 내걸기도 하였지만 투쟁을 계속하였다. 하지만 경상북도 영양군 북방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하던 중 일본군의 반격으로 도포장(都砲將) 김대규(金大圭)가 전사하고, 이현규도 부상을 당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여기에 계속되는 일본군의 추격과 회유책 및 고종의 해산 명령 등으로 1908년 봄, 이현규는 의진을 해산하고 포항시 청하면 청진리로 들어가 은거하였다.

[묘소]

이현규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 산 3-7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64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에 의사내산이하현선생기념비(義士奈山李夏玄先生紀念碑)를, 1985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에 독립운동기념비를 세워 추모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