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798
한자 朴東烈
영어공식명칭 Park Dongyeol
이칭/별칭 무여(武汝)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집필자 허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7년 08월 29일연표보기 - 박동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5년 4월 - 박동열 임하공립보통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41년 3월 - 박동열 안동서부공립심상소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41년 4월 - 박동열 안동공립농림학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박동열 항일비밀결사 명성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박동열 투옥 및 출옥
몰년 시기/일시 2008년 10월 08일연표보기 - 박동열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박동열 대통령 표창 추서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45년 - 안동농림학교 조선회복연구단과 명성회 사건
출생지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리 828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임하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학교|수학지 안동서부공립심상소학교 - 경상북도 안동시
학교|수학지 안동공립농림학교 - 경상북도 안동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 23-1)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정의]

일제강점기 청송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무여(武汝). 1927년 8월 29일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감연리 828번지에서 아버지 박해진(朴海振)과 어머니 김시목(金時睦) 사이에서 1남 3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박동열(朴東烈)[1927~2008]은 1935년 4월 경상북도 안동군 임하면의 임하공립보통학교(臨河公立普通學校)에 입학하였으며, 1941년 3월 경상북도 안동군 안동읍의 안동서부공립심상소학교(安東西部公立尋常小學校)를 졸업하였다. 1941년 4월에 안동공립농림학교(安東公立農林學校) 농과(農科)에 입학하였다.

1944년 안동공립농림학교 4학년 재학 중 같은 학교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 명성회(明星會)에 가입하였다. 명성회는 안동공립농림학교에서 퇴학당한 이정선(李貞善)이 일본 유학 중에 독립운동가를 만나 일제가 곧 패망하므로 귀국하여 비밀결사를 결성하라는 지시를 받고 귀국한 후 결성한 조직이었다. 명성회는 회원들의 작품과 감상문, 제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전쟁의 전황,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소식, 학병의 탈주 소식 등을 담은 회지 『여명(黎明)』을 발간하였으며, 명성회 회원뿐만 아니라 같은 시기에 활동하던 안동공립농림학교 중심의 또 다른 비밀결사 조선회복연구단(朝鮮回復硏究團)의 단원에게도 배부하였다. 두 비밀결사는 활동 목표가 일치함을 확인하고 독립을 위해 함께 활동하기로 뜻을 모았다.

명성회는 일제가 한국인 청년들을 태평양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수업 연한을 단축시켜 회원들이 졸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조선회복연구단과 연합하여 무장투쟁을 실행하기로 결의하였다. 1945년 2월에 안동공립농림학교의 무기고를 공격하여 무기를 확보한 후 안동 전역의 교통과 통신을 차단하고 인근 지역인 의성까지 진출한다는 계획이었다. 나아가 대구에 주둔하던 일본군이 무장투쟁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할 경우 결전을 벌인다는 계획이었다.

거사를 추진하던 중 조선회복연구단의 일부 단원이 피체(被逮)되어 연기되었다가 일제가 육군 기념일로 제정한 3월 10일에 단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피체된 단원의 조사 과정에서 조직의 전모가 발각되어 일제 경찰에 피체되었다. 미결 상태에서 옥고를 겪다가 8.15광복으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 풀려났다. 광복 후 공직으로 진출하여 울진군과 안동군 부군수, 영주시 부시장을 거쳐 김천시 부시장을 지낸 후 퇴임하였다. 김경순(金敬順)과 결혼하여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2008년 10월 7일 사망하였다.

[묘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동의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99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