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여도』 「청송도호부·진보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539
한자 廣輿圖靑松都護府眞寶縣地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용도 지방의 행정 실무 파악

[정의]

18세기 후반에 제작된『광여도』에 수록된 청송도호부진보현의 지도.

[개설]

『광여도(廣與圖)』는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지도이다. 충청도 도지도인『호서지(湖西圖)』에는 노성(魯城)이라는 군현명이 보이는데 원래는 니산(尼山)으로 불렸었다. 그러다가 1776년(정조 즉위)에 니성(尼城)으로 이름이 개칭되었다가 1800년(순조 즉위)에 노성으로 다시 한번 바뀌었다. 따라서 이 지명을 근거로 하면 『광여도』 편찬은 1776년에서 1800년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여도 전체의 구성은 『해동지도(海東地圖)』와 흡사하다. 세계 지도와 외국 지도 그리고 요계관방도, 조선전도 뒤로 각 도별 지도 아래 군현지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1책에는 경기도, 2책에는 충청도, 3책에는 전라도, 4책에는 경상좌도, 5책에는 경상우도, 6책에는 평안도, 7책에는 황해도와 강원도, 함경도 도지도와 군현지도, 그리고 주요 군사적 요충지의 순으로 실려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조선 후기 정부가 각 지방의 행정 실무를 파악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형태]

총 7책으로 이루어진 지도집으로 채색 필사본이며, 크기는 세로 36.8㎝, 가로 28.6㎝이다.

[구성/내용]

청송도호부의 지도는 4책인 경상좌도편에 수록되어 있다. 지도를 보면 읍치와 찬경루는 분홍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정사각형 안에 같이 표시되어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향교가 배치되어 있고 아래에는 읍창과 보광암(普光菴)이, 좌측에는 수고정(秀孤亭)이 그림으료 묘사되어 있다.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속에 기입되어 각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역(驛)은 분홍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친 직사각형 안에 그려져 있으며, 청운역(靑雲驛), 이전평역(梨田平驛), 문거역(文居驛), 화목역(和睦驛)이 자리잡고 있다.

산맥은 ‘∧’ 형 모양으로 연결시켜 회화식으로 묘사하였다. 산줄기 북쪽은 방광산(放光山), 중대산(中臺山), 지산(枝山)이 연결되어 진보현과 영덕을 경계를 두고 있으며, 동쪽은 월외산(月外山), 월명산(月明山), 주방산(周房山), 갈전산(葛田山)으로 연결되어 영덕과 인접되어 있다. 남쪽의 산줄기는 유현(柳峴)이 경주와 접하고, 우항현(牛項峴)은 신녕과 맞닿고 모현(茅峴)은 의성과 경계를 삼고 있다. 서쪽은 노래산(老萊山), 자일산(紫日山)이 안동과 접하고 있다. 하천(河川)은 청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진보와 안동에서 흘러온 하천이 읍치를 통과하여 남쪽으로 뻗어나가는 모양으로 나타냈다.

현내면에는 송학서원(松鶴書院)이, 현동면에는 병암서원(屛巖書院)이 있고, 문거역 부근으로 안덕고현창(安德古縣倉)이 있다. 부남면에는 남창(南倉)이 있고 화목역 우측에 서창(西倉)이 있으며, 부근에 쌍계사(雙溪寺)를 묘사하였다. 또한 지도의 뒷면에는 청송도호부의 주기가 기입되어 있다. 내용으로는 인구수와 원회미(元會米), 감영미(監營米), 각 군영 소속의 군인수와 경도(京都)와의 떨어진 거리, 청송도호부와 인접하고 있는 각 군현의 거리 그리고 읍치와 각 면과의 거리, 관청과 청송도호부 내에 있던 창고와 역의 거리를 표시하였다.

진보현의 지도는 4책인 경상좌도편에 편성되어 있다. 지도를 보면 읍치는 분홍색 바탕에 청색 테두리를 친 직사각형 안에 표시되어 있고, 읍치 부근으로 옥류정(玉流亭), 향교, 각산역(角山驛)이 표시되어 있다. 면(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테두리를 한 직사각형 속에 표기하여 해당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산맥은 ‘∧’형 모양을 연결시킨 그림으로 산줄기로 표현하였다. 북쪽의 산줄기는 동산현(東山峴)이 안동과 접하고, 길가마현(吉可馬峴)이 영양과 인접하고 있다. 동쪽의 산줄기는 임물령(林勿嶺)이 영덕과 경계를 두고, 남쪽의 산줄기는 변산(弁峴)과 중대산(中臺山), 남각산(南角山)이 청송과 인접하며, 서쪽의 산줄기는 비현(秘峴)이 안동과 접하고 있다. 하천은 청색의 물줄기로 표현하였고, 안동과 영양에서 흘러 들어와 진보현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뻗어나가고 있다.

북면에는 북창(北倉), 봉람서원(鳳覽書院)과 기암절벽인 문암(文巖)이 묘사되어 있고, 동면에는 삼성암(三聖庵)이, 서면에는 괴암석인 공암(孔巖)이, 남면에는 수정암(水靜庵)이 회화식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도의 뒷면에는 진보현의 주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진보현의 인구수와 원회미, 감영미, 각 군영 소속의 군인수와 경도와의 떨어진 거리, 진보현과 인접하고 있는 각 군현의 거리, 그리고 읍치와 각 면과의 거리, 관청과 진보현 내에 있던 창고와 역의 거리를 표시하였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전반 각 군현의 사정이 반영되어 당시 청송도호부진보현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도로 사료적인 의미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