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514 |
---|---|
한자 | 洪原里彰孝閣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송전길 69-14[홍원리 605]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김난아 |
건립 시기/일시 | 20세기 전후 - 홍원리 창효각 건립 |
---|---|
현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송전길 69-14[홍원리 605]![]() |
성격 | 비각 |
양식 | 홑처마|맞배지붕 |
정면 칸수 | 1칸 |
측면 칸수 | 1칸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홍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각.
흥원리 창효각((洪原里彰孝閣)은 조선 후기의 효자 김치욱(金致郁)의 효행을 기리고자 건립한 효자각이다. 김치욱의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세영(世營), 호는 암은(巖隱)으로 지지당(止止當) 김맹성(金孟性)[1437~ 1487]의 17세손이다.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김치욱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한여름에 아버지가 얼음을 먹고 싶다고 하자, 김치욱이 하늘에 기도하니, 집 옆 동굴에 얼음이 얼었다는 일화가 전한다.
부남면사무소에서 국가지원지방도68호선을 타고 남쪽으로 1.8㎞ 가량 가면 홍원교가 나타나고, 다시 홍원교를 건너 홍원리로 들어가는 작은 도로를 따라 720m가량 진입하면 송천마을이 나타난다. 홍원리 창효각은 송천마을 서북쪽에 있다.
홍원리 창효각의 건립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형식으로 보아 20세기 전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신의 크기는 세로 130㎝, 가로 45㎝, 두께 21㎝이며, 비신에는 ‘통정대부암은김공효행비(通政大夫巖隱金公孝行碑)’라 새겨져 있다. 비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 규모의 삼량가(三樑架)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창방 위에 둥근 화반을 올리고 주심도리 장혀를 받쳤고, 종도리 장혀에 상량문(上樑文)이 남아 있다. 상량문의 내용은 ‘한력병신구월십일일갑인오시수주상량(韓曆丙申九月十一日甲寅午時竪柱上樑)’이다.
선조들의 효행 정신을 기리고 본받을 수 있는 교육 현장으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