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070 |
---|---|
한자 | 景巖川 |
영어공식명칭 | Gyeongam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전구간 | 경상북도 청송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 |
성격 | 하천 |
면적 | 10.15㎢ |
길이 | 7.19㎞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에서 발원하여 용전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경암천(景巖川)은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내에서 흐르는 하천으로, 낙동강의 제3지류, 반변천의 제2지류에 해당한다. 유로연장은 7.19㎞, 유역면적은 10.15㎢이다.
지명은 하천이 아침 햇살이 내릴 때 바위를 비추면 거울과 같아 병풍바위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의 경계를 이루는 통점재 인근의 776.1m 고지의 북쪽 사면에서 발원한다. 발원지 인근에서는 북서류하다가 곧 서류하여 발원지와 같은 부남면 중기리에서 용전천으로 유입된다. 하천 유역은 높이 500~600m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하천을 이루는 기반암은 주로 유문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북서류하는 발원지 인근에서만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고, 서류하는 나머지 대부분 구간은 산지로부터 기원하여 하천으로부터 운반된 퇴적물로 형성된 곡저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하천 등급은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유역에 형성된 곡저평야에는 주로 중기1리 등의 취락과 농경지가 자리 잡고 있다. 하천을 따라서는 국가지원지방도68호선이 놓여 있으며, 이 도로는 발원지 부근에서 통점재를 넘어 경상북도 포항으로 이어진다. 발원지 부근에는 도선사라는 사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