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206
한자 梁山通度寺冥府殿
영어의미역 Myeongbujeon Hall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1년 12월 21일연표보기 - 양산 통도사 명부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양산 통도사 명부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목조불전
양식 다포식 겹처마 단층 팔작지붕 기와집
건립시기/일시 조선 말기
정면칸수 5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통도사로 108]지도보기
소유자 양산 통도사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에 있는 조선 말기의 불전.

[개설]

양산 통도사 명부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그리고 염라대왕(閻羅大王) 등 10왕을 봉안한 전각이다. 1981년 12월 2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변천]

1369년(공민왕 18)에 창건되었으며 중건, 중수의 기록은 알 수 없으나, ‘통도사사적비’에 따르면, 1760년(영조 36) 춘파대사(春波大師)가 개건(改建)하였다고 전한다. 범종루상(梵鐘樓上)에 있는 「명부전중수기」에 의하면, 1887년(고종 24) 봄에 감방(甘房)에서 실화로 인해 원통방(圓通房), 화엄전(華嚴殿)과 함께 명부전이 회록(回祿)되자, 다음날 보집원(普集院)에서 대신들과 의논하기를 “방료(房寮)의 회복이 하루라도 급한 것은 아니나, 저승에서 제도 받을 중생들이 노좌(露坐)하여 있는 것은 어찌하겠는가”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이때 장로 호성화상(虎惺和尙)의 주관으로 산내(山內) 18개의 방사 및 암자에서 시주를 받고 표충사 등 아홉 곳의 타사(他寺)와 전 승통(僧統) 문우대사(文佑大師), 정일화상(定日和尙) 등 수많은 도속(道俗)의 희사(喜捨)가 이루어져 역사(役事)를 모두 마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뒤 호성화상이 입적하였으며, 이 기문(記文)은 1890년(고종 27) 8월 화주(化主) 영해대사(永海大師)가 기록하였는데, 전당(殿堂)이 소실된 지 3년 후의 기록이다.

[형태]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단층 팔작지붕으로, 낮은 기단(基壇) 위에 주초(柱礎)를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양 퇴칸은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앞면 어칸 및 양 협칸의 문이 분합문임에 비해 양 퇴칸은 판장문을 달았다. 또한 건물의 외벽이 흙벽이 아니라 나무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붕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이다. 공포를 이루는 세부적인 구조물이 많이 생략되었는데, 이는 조선 말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절충적 수법이다. 법당의 중앙에는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을 봉안하였고, 좌우에 다섯 개씩 시왕탱(十王幀)을 안치하였다.

[의의와 평가]

양산 통도사 명부전통도사 내의 여러 건물 중 조선 말기인 고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당시의 명부전 건물 양식의 한 예로서 건축 양식의 시대적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건축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