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639 |
---|---|
한자 | 大監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집필자 | 최진아 |
[정의]
무속신앙 에서, 집안의 재수와 재복을 준다고 믿어지는 신령.
[개설]
무속신앙 에서 모셔지는 신격의 하나로, 가정에서는 대감신의 신체(神體)를 만들어 집안에 모셔두기도 하였다. 대감신의 유래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감’이라는 관직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 및 경기지역과 그 이북지역에서는 모셔지지만, 전라도와 경상도 등지에서는 이 신격은 등장하지 않는다.
[내용]
대감신은 크게 웃[上]대감과 아랫[下]대감으로 나뉘는데, 웃대감은 안[內]대감으로 아랫대감은 밖[外]대감으로 불리기도 한다. 웃대감에는 상산대감, 별상대감, 신장대감 등 상위의 신격을, 아랫대감에는 터대감, 수문장 대감 등 하위의 신격이 해당된다. 성남지역 무당들의 신당에도 거의 대부분 대감신이 모셔지며, 무속의례에서는 거의 모든 굿에서 이 대감거리를 행한다. 대감거리는 무속의례 거리 중에서도 해학적이며 연희적인 요소를 많이 지닌 거리에 해당된다.
가정에서는 큰 항아리리 혹은 작은 단지에 쌀이나 벼를 가득 담아 대청 구석에 놓고, ‘대감항아리’, ‘대감독’라고 하여 신체를 만들어 놓고, 주로 재물과 재복을 주는 가신(家神)으로 여긴다.
[현황]
성남지역에서 대감항아리가 남아 있는 사례는 흔하지 않고, 단지 대감의 신체를 모셨었다는 사례가 주로 나타난다(수정구 창곡동의 염필규의 사례, 분당구 운중동 홍경섭의 사례). 신체를 따로 모시지는 않지만 가을고사를 지내는 경우에 일부 가정에서는 안방과 대청 사이에 제물을 두거나 대청에 성주를 위할 때 함께 모시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