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018 |
---|---|
한자 | 金石文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
집필자 | 김주홍 |
[정의]
종이나 비석 등에 새겨진 글자. 혹은 새긴 글의 총칭.
[개관]
오늘날 성남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금석문은 비(碑)와 마찬가지로 조선 전기부터 성남 각지에 정착하여 유력가문을 형성하였던 사대부들의 사후 음택(陰宅:무덤)에 세워져 있는 신도비(神道碑), 묘갈(墓碣), 묘표(墓表) 등의 각종 석비(石碑)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소 묘주(墓主)나 후손 혹은 관직 동료, 문인(門人)과의 친분관계에서 이들 비석의 비면(碑面)에 새겨질 글씨를 찬(撰)하거나 비문이 완료된 후 비의 건립시 부탁되어졌던 서자(書者), 전자(篆者)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비석의 비면에 새겨진 서체를 통해 금석학 또는 서예사적으로 당시대의 학문조류를 이해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성남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이들 석비를 통해 금석학적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참고로 묘향(墓向)과 비향(碑向)은 후면에서 관측한 방위이다. 또한, 다음에 설명할 신도비, 묘갈, 묘표와 관련되는 성남지역 관련 자료는 '분묘(墳墓)' 항목의 끝에 첨부한 표의 내용과 같으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신도비]
〈표1〉신도비 건립묘역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신도비 건립묘역
서체적인 면에서 신도비문은 해서(楷書)와 전서(篆書)의 두 가지 서체로 구성되었다. 해서로는 비제(碑題), 서(序), 명(銘), 연기(年紀), 음기(陰記) 등 나머지 비문을 쓰며, 전서로는 비액(碑額)을 쓰게 된다. 비액은 전서로 쓰므로 전액(篆額)이라고도 하며, 신도비에서 건물의 현판과도 같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전체 비문 중에서 전액은 단지 몇 자에 지나지 않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서체 중에서 가장 고상하고도 화려한 서체라고 할 수 있는 소전(小篆)으로 쓰여졌다.
한편, 신도비문에는 대부분 찬자, 서자, 전자가 새겨져 있다. 이 중 찬자는 서자와 전자에 비해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졌으므로 반드시 비신에 새기되 맨 앞에 새겨놓고 있다. 현재 성남지역에 남아있는 총 12기 신도비의 찬자는 서거정, 신용개, 이행, 조인규, 오억령, 장유, 정두경, 이의현, 박세당, 이경석, 이재, 이병관 등으로, 이들 12인에 의해 주로 비문이 찬하여졌다.
다음 서자는 확인이 이려운 2기를 제외하고, 안침, 남공제, 김로, 김현성, 김의신, 이진휴, 김진상, 이광사, 이식, 이기렴, 이승휘, 박기양 등으로, 역시이들 12인에 의해 주로 비문이 서하여졌다. 이 중 중원구 하대원동 소재 이상안(李尙安)[1575~1627]의 신도비는 1631년(인조 9) 초축 이후 비의 훼손과 마모로 인해 1839년(헌종 5) 개수되어짐에 따라 서자뿐만 아니라 전자가 2인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전자는 마모 혹은 불기(不記)로 인해 확인이 곤란한 5기를 제외하고 남공제, 김상용, 윤덕준, 홍현보, 이광사, 김광현, 이상준, 이태현, 윤조영 등 9인이 주로 전액하였다.
[묘갈]
〈표2〉묘갈 건립묘역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묘갈 건립묘역
묘갈문 역시 신도비문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찬자(撰者), 서자(書者)가 기록되어 있으며 드물게 전자(篆者)가 새겨져 있는 비도 약 4기 가량 잔존하고 있다.
이들 묘갈문의 찬자는 확인이 곤란한 3기를 제외하고, 이민구, 송시열, 정태제, 정두경, 이사균, 이재, 남공철, 김안로, 한명욱, 정유길, 정원섭, 심지원, 이경여, 김집 등 14인에 의해 주로 비문이 찬하여졌다. 이 중 수정구 금토동 소재 남공철(南公轍)[1760~1840] 묘갈과 분당구 율동 소재 한명욱(韓明勗)[1567~1652] 묘갈은 본인이 생전에 자찬(自撰)한 경우로서 극히 예외적이며, 특히 남공철 묘갈문은 중국 당나라 명필 안진경(顔眞卿)의 글씨를 집자하여 새긴 것이다.
다음 서자는 확인이 곤란한 4기를 제외하고, 윤문거, 송준길, 윤용구, 이재 등 14인에 의해 비문이 찬하여졌다.
마지막으로 전자는 윤안인, 김진상, 남주헌 등 3인이 확인되었는데, 이로써 찬자와 서자를 비문에 뚜렷이 명기하는 데 비해 전자는 명기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묘표]
〈표3〉묘표 건립묘역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묘표 건립묘역
현재 성남지역에 잔존하는 약 70여기 묘표에 찬자(撰者)나 서자(書者)가 새겨져 있는 경우는 수량에 비해 많지 않은 편이다. 우선 찬자는 남언성, 심추, 이민효, 이진향, 이석, 이헌진, 윤행임, 송시열 등 18인이 확인되며, 한효순 묘표는 생전에 자술(自述)하여 놓은 것을 사후에 새겨 놓은 것으로서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다. 다음 서자는 남성임, 이광사, 이유, 신효중, 조상우, 황운조 등 15인에 의해 비문이 서하여졌다.
한편 묘갈의 형태를 하고 있는 고등동 이혜[1635~1715] 묘표의 비문은 앞면 큰글자의 경우 한호(韓濩)[1543~1605]의 글씨를, 뒷면 작은글자의 경우 금토동 남공철 묘갈과 마찬가지로 중국 당의 명필 안진경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또한, 사송동 원경하[1698~1761] 묘표의 경우는 중국 당나라의 명필 저수량(褚遂良)의 글씨를 집자하여 비문에 새긴 것으로 금석학적으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