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지방지도』 「문의현지도」·「공주목지도」·「청주목지도」·「천안군지도」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495
한자 一八七二年地方地圖文義縣地圖公州牧地圖淸州牧地圖天安郡地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경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고종 9) - 전국 군현지도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성격 지도

[정의]

1872년 팔도감영에서 전국 군현의 모습을 회화식으로 고지도에 수록한 세종 지역의 지도.

[개설]

『1872년 지방지도』는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국가 지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 3월부터 6월 3개월에 걸쳐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완성된 지도가 도별로 수합되었다. 수효는 모두 461장에 이른다.

『1872년 지방지도』 제작 시 진영(鎭營)을 별도로 그린 진지도에 해방(海防)[바다로부터의 침입이나 피해 등을 미리 막아 지킴]과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지도를 군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된 점은 당시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고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각 지방의 정보를 수집한 것과 관련이 있다.

화포청(火砲廳)·포수청(砲手廳)·척화비(斥和碑) 등이 그려진 것은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겪으면서 흥선대원군이 새롭게 시행한 정책 결과물로, 변화된 사회적 상황을 상징하는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형태]

『1872년 지방지도』에는 군현지도뿐만 아니라 진영지도, 산성지도, 목장지도 등 군사시설이 그려진 지도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 지도들은 비교적 큰 지면에 그려진 낱장의 채색필사본으로, 각각이 첩(帖)으로 분책된 형태이다.

지도를 펼쳤을 때 크기가 가장 작은 지도는 34.4×50㎝, 가장 큰 지도는 146.7×114㎝로 지도마다 크기가 서로 다르고 편차도 크지만 첩장(帖粧) 크기는 35×25㎝로 동일하다.

[구성/내용]

『1872년 지방지도』 「문의현지도」에는 지금의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현도면, 부용면, 가덕면 일대에 해당한다. 그러나 고을의 연혁과 각면의 인구 등이 기재되어 있으나 각 면 소속의 동리명은 빠져 있다.

전체 구도상의 특징은 남쪽을 지도의 상단으로 배치하여 읍치(邑治)[군무(軍務)를 맡아 보던 관아가 있던 곳]의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보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읍의 조산(祖山)[풍수지리의 혈(穴)에서 가장 멀리 있는 용의 봉우리]격인 저자산(楮子山)과 안산인 문경봉(文景峰)은 표기되어 있으나 읍의 주산인 양성산(養性山)은 표기되지 않았다. 읍치 옆에는 장터가 그려져 있으나 도로상에 형성되는 店(점)은 보이지 않는다.

1610년(광해 2)에 창건되어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遺墟(유허)로 그려져 있는데 노봉서원은 전면적인 서원 철폐령이 내려진 1871년에 훼철(毁撤)[헐어서 치움]되었다.

각 뿐만 아니라 사창(社倉)[조선 시대에 각 고을의 환곡(還穀)을 저장하여 두던 곳집], 제언, 주요 산과 고개 등에는 읍치에서의 거리를 주기(注記)[사물을 기록하거나 사물을 기록한 것]하여 지도의 이해를 돕고 있다.

「공주목지도(公州牧地圖)」는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신풍면, 정안면, 사곡면, 우성면, 의당면, 장기면, 반포면, 계룡면, 이인면, 탄천면 일대를 포함한다. 1872년 충청도 군현지도 가운데 지도의 제목이 표기되지 않은 유일한 지도이다.

지도 왼쪽에는 산천(山川), 도리(道里), 창고(倉庫), 사찰(寺刹), 시장(場市), 고적(古蹟) 등의 지지(地誌)[특정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현상을 백과사전식으로 나누어 기술한 책] 항목이 기재되어 지도와 지지가 결합된 전형적인 사례이다.

동서남북(東西南北)의 글자로 방위를 표시하였는데 남쪽을 지도의 상단에 배치하였다. 산천 표현은 다른 군현지도보다 회화적 성격이 강한데 계룡산을 비롯한 산은 수목까지도 그려 넣었다. 강 연안의 절벽과 사찰의 건물 모양, 심지어 강에 떠다니는 배를 그리기도 하였다.

충청도의 감영(監營)과 우영(右營)이 있던 읍치에는 지붕 모양을 그려 넣어 인구가 밀집해 있음을 나타내었다. 다른 지도와는 달리 동리명(洞里名)이나 호구수를 기입하지 않고 단지 면명(面名)만을 해당 지역에 표기하였다.

도로는 황색의 쌍선으로 표시하였고, 다른 군현에서는 점(店)으로 표시된 주막(酒幕)이 그려져 있다. 또한 좌측의 지지 항목에는 시장 13곳으로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나 지도상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고지도에서는 모든 사항이 반드시 표현되는 것이 아니고 선별적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읽는 데 주의해야 한다. 지도 제작자의 의도와 지도 이용의 목적 여하에 따라 표현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1872년 지방지도』 「청주목지도」에도 전국적으로 보이는 지역 곳곳에 훼철된 서원(書院) 및 사창(社倉)[조선 시대에 각 고을의 환곡(還穀)을 저장하여 두던 곳집]이 표시되어 있고, 화포청(火砲廳)[화약 제조 및 화기 제작 등을 관장하던 공청]과 포수청(砲手廳), 척화비(斥和碑) 등이 그려진 것은 흥선대원군이 새롭게 시행한 정책의 결과물로 변화된 사회적 상황을 상징하는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1872년 지방지도』 「연기현지도」에는 미호천동진강(東津江)으로 표기한 반면에 청주군 지도에는 표기 흔적이 없다. 『비변사방안지도』, 『해동지도』 등에도 무심천만 기록되어 있고 「청주군 읍지(1899년)」의 ‘산천 편’에서도 미호천은 소개되지 않았다.

그런데 1860년대 김정호가 만든 『동여도』에는 현재의 미호천작천(鵲川)·미곶강(彌串江)·동진강(東津江)으로 표기되어 있고, 미곶강의 위치가 오송과 조치원을 지나는 곳에 있어 이채롭다. 그런데 『1872년 지방지도』 연기현에 표기된 미곶진(美串津)은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로, 과거 나루터이다. 지금도 ‘미꾸지’로 불린다.

『1872년 지방도』 「천안군지도」의 천안 읍치 일대는 사각 장방형의 견고한 읍성 형태의 관아와 향교, 객사가 높은 담장으로 둘러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읍치의 영남루(永南樓) 아래 대로 표시 위로 붉은색 주칠(朱漆)을 한 홍살문(紅箭門)이 표기되어 궁전, 관아(官衙), 능(陵), 묘(廟)·원 등의 입구 상징성뿐만 아니라 치소 관문의 역할도 보인다.

지금 국도 제1호와 국도 제21호가 분기하는 바로 위쪽에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부터 쓰인 ‘고을 남쪽 6리’의 삼기원(三岐院)도 보인다.

대동면을 중앙에 두고 동·서로 원일면(遠一面)과 원이면(遠二面)이 있다. 원이면의 20개 리, 전의군[현 세종시] 대서면(大西面)의 4개 리를 합하여 광덕면이라 칭했다.

이처럼 행정구역의 변동도 보인다. 현재 국도 제1호를 달리다 보면 세종-천안-세종 식의 지명 안내가 바뀌는 이유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왕조에서 시행한 전국 군현지도 편찬사업의 마지막 성과물로 평가되는 『1872년 지방지도』는 이전의 관찬(官撰)[관청에서 서적을 편찬하거나 관청에서 편찬한 서적] 군현 지도집과 달리 통일성은 결여되었지만 지역 실정에 따라 비중을 둔 내용과 표현 방식도 다르게 제작되었다.

하지만 당시 지방사회의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 주는 사료로서 의미가 있다. 19세기 말 변화된 정치·경제적 상황과 군사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기존의 회화식 군현지도 제작 기법이 총체적으로 사용되어 전국 군현의 지도 제작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