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248
한자 賢興里
영어공식명칭 Hyeonheu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현흥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현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3월 1일연표보기 - 경산군 동면 현창동·건흥동을 경산군 압량면 현흥동으로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88년 5월 1일 - 경산군 압량면 현흥동에서 경산군 압량면 현흥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경산군 압량면 현흥리에서 경산시 압량면 현흥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0년 1월 1일 - 경산시 압량면 현흥리에서 경산시 압량읍 현흥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2.1㎢
가구수 164가구
인구[남/여] 373명[199명/174명]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현흥리(賢興里)경산시 압량읍의 북쪽에 있는 지역으로 행정리는 현흥1리와 현흥2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마을은 건흥, 현창 등이 있다.

[명칭 유래]

현흥리는 현창동과 건흥동이 합해져 이루어진 마을이다. 현창은 고을[현]의 창고가 있었던 곳이다. 일설에는 금호강 건너 숙천과 연결된 선착장이 있었다고 하여 처음에는 선창이라 불렀는데, 훗날 소리의 변동으로 ‘현창’이 되었다고도 한다. 건흥은 물이 흔해서 날이 가물어야만 농사가 잘 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형성 및 변천]

현흥리는 본래 경산군 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현창동과 건흥동을 병합하여 경산군 압량면 현흥동으로 개설되었다. 1988년 군조례에 의해 현흥동이 현흥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경산시·군 통합에 따라 경산시 압량면 현흥리가 되었다. 2020년 1월 1일 압량읍으로 승격되어 경산시 압량읍 현흥리로 개편되었다.

[자연환경]

현흥리는 마을 북쪽으로 흐르는 금호강오목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넓은 퇴적평야에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지대가 평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다. 현흥들은 금호강에 인접해 있으며, 동남쪽의 삼락산[305.1m], 선암산[417.1m], 아방산[431.7m], 금박산[418.8m], 도천산[261.3m] 등 크고 작은 구릉성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들을 이용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저수지들이 조성되어 있다.

[현황]

2020년 5월 31일을 기준으로 현흥리의 면적은 2.1㎢이며, 인구는 164가구, 373명[남자 199명, 여자 174명, 외국인 제외]이다. 현흥리의 동쪽은 인안리, 남서쪽은 금구리, 남동쪽은 용암리, 북쪽은 하양읍 환상리와 접한다.

지방도 제919호가 들판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대구 방향에 현흥1리, 진량 방향에 현흥2리가 소재하고 있다. 촌락은 두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대부분의 토지가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주산물은 참외로 현흥리 일원에는 ‘맛난 참외 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현흥리에서 재배되는 참외는 특유의 향과 단맛으로 유명하다.

기름진 토양과 풍부한 일조량을 바탕으로 재배된 참외가 지역 농가의 주 소득원 역할을 한다. 마을의 모임으로는 부녀회와 참외 작목반 등이 있으며 포도 작목반과 상포계가 두드러진다. 마을 내에 현흥초등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현흥초등학교 구건물 뒤편 소나무 옆에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인 현흥리 선돌[입석]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