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598
한자 永樂公園
영어공식명칭 Yeongnak Park
이칭/별칭 제2시립묘지공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영락공원로 170[효령동 100-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문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0년연표보기 - 영락공원 개원
최초 설립지 영락공원 - 광주광역시 북구 영락공원로 170[효령동 100-2]
현 소재지 영락공원 - 광주광역시 북구 영락공원로 170[효령동 100-2]지도보기
성격 공원
면적 27,442㎡
전화 062-572-1701
홈페이지 영락공원(http://www.cyberyoungrak.or.kr)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에 있는 시립묘지공원.

[개설]

영락공원은 장례의식 및 묘지 이용자에게 휴식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구역 내에 매장 및 묘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묘지와 공원시설을 혼합하여 설치한 주제공원이다.

[건립 경위]

광주광역시는 1971년 북구 수곡동 일대의 605,000㎡에 망월묘지공원을 조성하였으나, 이후 급격한 묘지 수용량 증가에 대처할 필요성이 대두되자 북구 효령동영락공원을 조성하였다.

[변천]

1998년 10월 광주광역시는 공원계획에 따라 지세의 적합성 등을 따져 북구 효령동 대포리봉 자락에 1,032,420㎡를 제2시립묘지공원으로 새롭게 지정하여 영락공원이라 하였다. 1999년 3월 공원조성계획 결정 고시를 거쳐, 지난 2000년 1단계 묘지공원 조성공사를 완료하여 개원하였다. 2010년 이후로 제2추모관 설치, 가족봉안묘 설치 등을 거쳐 2017년부터는 자연장을 마련하여 공급하고 있다.

[구성]

영락공원은 시립묘지공원으로 27,442㎡ 부지에 건물 연면적 3,873㎡ 규모로 화장장, 봉안당, 자연장 시설 등이 구성되어 있으며, 광주광역시도시공사가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주요시설은 화장로 9기와 분향실, 유족대기실, 수골실 등으로 이루어진 화장동과 66,026기를 안치할 수 있는 1~2 추모관으로 이루어진 봉안당, 15,000기를 안치할 수 있는 자연장, 유택동산, 관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락공원은 화장, 매장, 자연장, 개별봉안, 가족봉안, 2기용 평장묘까지 장사시설의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황]

영락공원에서는 관리사무실, 접수실, 추모관, 승화원 등에 매장담당, 묘역공무직 등 35명이 근무하고 있다. 장시시설 사용기간은 6위를 안치할 수 있는 가족묘지의 경우 최고 75년, 1~2위를 안치할 수 있는 봉안평장묘는 최고 45년까지 사용 가능하다. 영락공원은 무색, 무취, 무공해의 최신 화장설비와 쾌적한 환경의 추모시설 등을 갖추고 선진 장묘문화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