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40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Speech|Words
분야 구비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혜진

[정의]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 체계와 특이한 언어 현상.

[개설]

언어는 ‘말’이다. 스터트번트(E. H. Sturtevant)는 “말이란 그 사회집단의 구성원이 서로 협동하고 상호작용을 하는 자의적인 음성적 기호의 조직이다.”라고 하였다. 말이란 것은 우리가 그것을 보는 각도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한다. 한 언어 사회 내부에서 쓰이고 있는 말은 결코 동질적인 것이 아니다. 우선 각 지방에는 각각 방언이나 지방어가 있고, 한 지방에 있어서도 계층, 직업에 따라 말씨가 다른 경우가 많다. 그러면 계층이나 직업이 같은 사람은 같은 말을 쓰고 있느냐 하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우리가 실제로 쓰고 있는 말은 각 개인에 따라 어느 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 나아가서 생각하면, 한 개인이 쓰는 말도 때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이를테면 오늘 아침에 내가 A에게 한 인사 ‘안녕하십니까?’란 말은 내일 B에게 할 때 그대로 되풀이될 수는 없다. 꼭 같은 억양, 강약, 음색, 길이들이 그대로 재생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우리가 실제로 쓰고 있는 말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나며, 같은 사람인 경우라도 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것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말, 즉 언어란 개인적이며 순간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표준어와 방언]

말은 인간의 사고를 가장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수단이며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인간 상호 간에 발생하는 오해의 대부분은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며, 반대로 대부분의 오해는 말을 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보통 우리는 말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지 않고 살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우리말에 너무 익숙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가 조금이라도 우리말에 관심을 가지면 지역에 따라서는 ‘표준말’과는 다른 그 지역 고유의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예를 들어 표준말 ‘어디 가십니까?’는 경상도에서는 ‘어디 가심니꺼?’, ‘어디 가니껴?’, ‘어디 가는교?’가 사용된다. 전라도에서는 ‘어디 가시요?’, ‘어디 가시지라(우)?’로 사용되며, 충청도에서는 ‘워디세유?’로, 제주도에서는 ‘어디 감수꽈?’, ‘어디 감네까?’가 사용된다. 그리고 경기도에서는 ‘어디 가세요?’가 황해도에서는 ‘어디 가시꺄?’, 평안도에서는 ‘어드메 가심네까?’, 함경도에서는 ‘어드메 가심니까?’, ‘어드메 가심까?’, ‘어드메 가심둥?’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지역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말을 ‘표준말’과 구별하여 ‘방언’이라고 한다.

[동남방언과 청송 지역어의 역사]

‘동남방언’은 편의상 행정단위로서의 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의미하는데, 방언권과 행정 구획상의 도계(道界)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동남방언은 행정구역으로 경상북도에 소속되는 시군과 경상남도에 소속되는 시군이 모두 포함된다. 그러므로 청송군 지역의 언어도 동남언어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동남방언은 다른 지역 방언과 달리 성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대-중세 국어로 소급되는 언어 특징이 많이 남아 있다. 뿐만 아니라 고대 신라의 중심 지역이었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국어사 연구나 방언 연구의 측면에서 주목을 받아 왔으며, 한국어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알타이어 공통 조어(共通祖語)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한어계(韓語系)는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이 있었는데, 이들은 백제어, 가야어, 신라어로 각각 발전하였으며, 상호 언어적 성격이 매우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남방언은 신라어와 가야어의 기층 언어였던 진한어와 변한어를 중심으로 발달된 방언이다. 곧 청송군 지역어는 진한어에 뿌리를 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진한계 12소국 가운데 6부로 구성된 사로국이 신라로 성장 발전함으로써 그 언어가 점차 신라어로 확장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로어에 바탕을 둔 신라어는 6세기 가야를 통합함으로써 변한어를 흡수하여 언어 영역을 확장하였다. 신라 진흥왕 때[540~576] 가야를 통합하였으며, 마침내 7세기 삼국을 통일함으로써 마한어까지 흡수하여 한반도의 언어는 신라어를 중심으로 새롭게 통합되었다.

918년 고려가 건국되고 936년에 후삼국을 통일함으로써 수도는 경주에서 개경으로 옮겨졌다. 이로써 중심 언어권이 경주에서 개경으로 옮겨지게 되어 개경말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의 중부 지역의 언어가 언어적 통합의 중심축이 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동남방언이 기층어의 기능을 담당하다가 그 권위를 중부방언인 개경 또는 한양의 방언으로 넘겨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므로 청송 지역어는 한반도의 중심언어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