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558 |
---|---|
한자 | 容思集說-冊板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보라 |
1843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청송 출신 서활의 저서와 책판.
청송 출신의 학자 서활(徐活)[1761~1838]이 경전에 격훈을 붙인 저서와 책판으로, 1843년에 아들 서원모가 간행하였다.
서활의 본관은 달성, 자는 청여(淸如), 호는 매야(邁埜)이다. 권렴(權濂)의 문인으로 성장하여 김종덕(金宗德)에게 수학하였다. 관직에는 뜻이 없어 오로지 위기지학의 학문에 열중하였다. 만년에 매야정사를 지어 후진 교육에 힘썼다.
『용사집설(容思集說)』은 서활이 『예기』등에 나오는 구용(九容)·구사(九思)를 18장으로 나누고, 고금의 훈고를 각 장별로 붙인 책이다. 유회칙(柳晦則)과 상의하여 정리한 것으로 1843년에 아들 서원모가 이병하(李秉夏)의 발문을 얻어 간행하였다.
『용사집설』은 1책 57장의 목판본이다.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가로 20.9㎝, 세로 32.1㎝이며, 10행 18자이다. 판심제는 용사집설이다. 『용사집설』 책판의 크기는 가로 50㎝, 세로 21㎝로 2017년 현재 15장이 남아 있으며, 13장이 결락되었다. 책판은 청송 달성서씨 석간정에서 소장하고 있다.
『용사집설』저서는 1책 57장으로 책 끝에 이병하가 1843년 봄에 쓴 발문이 있다. 내용은 ‘구용’ 즉 신체의 외적 형용 9가지 조목과, ‘구사’ 즉 사유의 내적인 9가지 조목을 나누어 설명하였다. 제일 앞에 「경해구용구사지도(敬該九容九思之圖)」와 그 해설이 있다.
본문으로는 제1장 「족용중(足容重)」, 제2장 「수용공(手容恭)」, 제3장 「목용단(目容端)」, 제4장 「구용정(口容正)」, 제5장 「성용정(聲容靜)」, 제6장 「두용직(頭容直)」, 제7장 「기용숙(氣容肅)」, 제8장 「입용덕(立容德)」, 제9장 「색용장(色容莊)」등에 대하여 경전과 선유의 설을 인용하여 각 장 밑에 해설하고 구용에 대하여 통론하였다. 제10장 「시사명(視思明)」, 제11장「청사총(聽思聰)」, 제12장 「색사온(色思溫)」, 제13장 「모사공(貌思恭)」, 제14장 「언사충(言思忠)」, 제15장 「사사경(事思敬)」, 제16장 「의사문(疑思問)」, 제17장 「분사난(忿思難)」, 제18장 「견득사의(見得思義)」등에 대해 해설하고, 구사에 대하여 통론하였다. 다시 구용·구사를 총론하였다.
이 책은 인간 수양에 있어 내적인 마음가짐을 올바르게 인도함으로써 외적인 태도와 동작을 행동 규범에 어긋나지 않게 하여 표리를 상호 함양, 진취시키는 인간 완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