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359
한자 光復
영어공식명칭 Independenc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종

[정의]

1945년 광복 이후부터 1948년 정부 수립까지 경상북도 청송 지역의 정치, 사회경제적 상황.

[정치 상황]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은 우리나라의 당면한 과제는 정부 수립이었다. 광복 직후 정부 수립을 위한 준비기관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고, 전국의 도·군·면 단위에는 지부가 결성되었다. 청송 지역에서도 건국준비위원회 각 단위의 지부가 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록상으로 확인되지는 않는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미군이 남한에 진주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조선인민공화국을 수립하고 전국 각 지방에 인민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청송 지역에서도 인민위원회가 결성되어 지역의 자치기관으로 활동하였다. 인민위원회는 서석보(徐錫普)가 위원장이 되어 활동을 주도했으며, 이돈영(李敦榮), 심의면(沈宜冕) 등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또한 각계각층의 권익을 옹호하는 사회운동 단체가 결성되는 가운데 청송 지역에서도 좌익 성향의 농민조합과 민주청년동맹 등의 단체가 결성되었다. 우익 단체로는 1946년 5월에 대한독립촉성 청송군지부가 결성되었다.

[사회·경제적 상황]

광복 직후 전국에서 정부 수립을 두고 좌우 세력 사이에 날카로운 대립과 갈등이 있었지만, 청송 지역에서는 타 지역에 비해 좌우 세력의 대립이 미약하였다. 좌우 세력의 대립이 미약하였던 이유는 사회운동의 기반이 취약한 측면이 있었지만, 무엇보다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특히 이 시기 청송 지역의 가장 큰 문제는 식량 부족이었다.

당시 식량 부족은 전국의 공통적인 문제였지만, 청송 지역은 굶어 죽은 사람이 수백여 명에 달했고, 지역민이 풀뿌리와 나무껍질로 연명하고 있다는 내용이 신문에 여러 차례 보도될 정도로 무척 심각하였다. 1945년에 냉해와 수해가 겹쳐 농작물의 작황이 좋지 않아 자급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더욱이 일제강점기에 청송 지역을 떠났던 사람들이 귀국하여 인구가 증가하면서 식량 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1946년 6월에는 굶어 죽는 사람이 200여 명에 달할 정도로 심각하였다.

열악한 식량 사정에도 불구하고 1946년 미군정이 실시한 하곡[보리와 밀 등 여름에 추수하는 곡식] 수집에서는 할당량을 초과할 정도의 실적을 보였다. 이는 지역민의 적극적인 협조도 있었지만, 경찰과 공무원이 동원되어 강제 수집한 영향이 컸다.

[10월 사건과 좌익 세력의 활동]

1946년 한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최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성과 없이 결렬되어 정부 수립의 희망이 점점 멀어졌다. 미군정은 좌파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조선공산당의 주요 인물에 대해 체포령을 내리는 등 대대적인 탄압을 가하였다. 조선공산당은 미군정의 탄압에 맞서 ‘신전술’을 채택하였고, 9월 총파업을 일으켰다. 9월 총파업 중 대구에서 경찰의 발포로 시민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10월 사건’이 발발하였다.

청송 지역에서는 10월 4일 민주청년동맹의 청년들이 경찰지서를 점거했으며, 이 과정에서 경찰이 부상을 입는 사건이 일어났다. 청송 지역의 10월 사건은 다른 지역에 비해 미약하였다. 미군정이 10월 사건 관련자를 대대적으로 체포하자, 산으로 피신하는 좌익 세력이 많아졌고, 이들이 좌익 무장 유격대[빨치산]의 기원이 되었다. 청송 지역은 주왕산(周王山)[720.6m]과 보현산(普賢山)[1,124m] 등 험준한 산이 많았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피신해 오는 좌익 인물들이 많았다. 이에 이전과는 달리 청송 지역에서도 좌익 세력의 활동이 많아졌다.

[5.10 선거와 정부 수립]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열렸지만 성과 없이 결렬되어 무기한 휴회되자, 9월에 미국이 소련과의 협의를 포기하고 한국 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하였다. 1947년 11월 유엔은 총회를 열어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총선거를 통해 한국에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의하였고, 선거를 감독하기 위해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북한과 소련은 유엔의 결정에 반발하여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입북을 거부하였다. 결국 1948년 2월 유엔은 소총회를 열어 선거가 가능한 지역, 즉 남한에서만 총선거하기로 결정하였다.

좌익 세력은 선거를 무산시키고 정부 수립을 저지하기 위해 무장 유격 활동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5월 10일 선거[5.10총선거]는 예정대로 시행되었다. 청송 지역에서는 김봉조(金鳳祚)[교육협회], 윤용구(尹鎔球)[대동청년단], 심운섭(沈雲燮)[대한독립촉성국민회] 3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경북도 학무과장을 지낸 김봉조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년 임기의 제헌국회에서는 헌법을 포함한 정부 수립에 필요한 여러 법률을 제정하였고, 이승만을 대통령에 선출하였다. 이승만 대통령은 내각을 조직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하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전국의 험준한 산악 지대를 중심으로 좌익 무장 유격대의 활동이 강화되었다. 청송 지역에서도 보현산주왕산 등을 중심으로 좌익 무장 유격대의 활동이 강화되면서 사회적 혼란이 계속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