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036 |
---|---|
한자 | 霧藏山 |
영어공식명칭 | Mujangsan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항리|내룡리![]() |
---|---|
성격 | 산 |
높이 | 640.8m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와 항리에 걸쳐 있는 산.
무장산(霧藏山)은 640.8m이며, 주왕산국립공원 내에 속해 있다.
무장산의 북쪽으로 이어진 능선은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와 항리,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봉산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덕갈산[650m]으로 이어진다. 이 능선부의 서사면을 따라 덕갈산 서쪽에서 발원한 하천이 남류하다가 한소밭교 일대에서 가천으로 합류한다.
무장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신라층군-낙동층군 적색 사암층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이다.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은 주변 암체들보다 풍화와 침식에 강하여 이 일대에서 비교적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무장산 정상부 일대는 경상계 불국사층군 각력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덕갈산의 정상부 일대는 경상계 신라층군-낙동층군 적색 사암층 구성되어 있다.
무장산 일대에는 소나무·굴참나무 등의 군락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고라니·노루·다람쥐·멧돼지·산토끼 등과 멸종위기 포유류인 담비와 삵이 서식하고 있으며, 물까마귀·박새·붉은머리오목눈이·산솔새·쇠딱따구리·쇠박새·쑥새·어치·직박구리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무장산 일대는 1976년 3월 30일 주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당시에는 국립공원의 범위에 속하지 않았다. 이후 주왕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 107.43㎢ 중 약 30%에 달하는 경상북도 영덕군 일부의 29.34㎢ 면적이 편입되면서 영덕의 팔각산[633m]과 함께 무장산 일부가 주왕산국립공원에 속하게 되었다.
무장산에서 북쪽의 덕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서사면에 자리한 곡저평야는 농경지 및 주거지로 이용되고 있다. 무장산의 남쪽에는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하나인 청송얼음골이 있다. 주왕산면 내룡리 설티삼거리-무장산-덕갈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다만, 무장산의 남쪽으로 등산 명소인 팔각산-절골 종주 코스가 있으나, 무장산의 등산로로 이어지지 않아 등산객이 많이 찾는 곳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