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032 |
---|---|
한자 | 金銀- |
영어공식명칭 | Geumeungwangi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거대리|월외리|주왕산면 상의리![]() |
---|---|
성격 | 산 |
높이 | 812.4m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거대리와 월외리, 주왕산면 상의리에 걸쳐 있는 산.
금은광이는 높이 812.4m이며, 주왕산국립공원 탐방 코스 중 금은광이삼거리로 잘 알려져 있다. 금은광이를 기점으로 북쪽 탐방로는 월외폭포 및 달기폭포로 이어지며, 남서쪽 탐방로는 장군봉(將軍峰)[686.8m]으로 이어진다. 남동쪽 탐방로는 용추협곡 일대로 이어진다.
금은광이라는 명칭에는 두 가지 유래설이 있다. 첫 번째는 일제강점기 때 골짜기 안에 금은 광산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고, 또 하나는 한때 ‘전기 없는 마을’로 유명세를 치렀던 내원마을에서 바라볼 때 아침에는 은빛이고 저녁에는 금빛 노을이 아름다워서 금은광이라고 불렀다는 설이다.
금은광이가 있는 주왕산은 화성암의 층상 분포가 특징적인데, 주왕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하부로부터 대전사 현무암, 주왕산 응회암, 너구동층 안산암, 무포산 응회암 순으로 나타난다. 경사가 완만한 하부는 대전사 현무암 및 상부층들의 풍화 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급애(急崖)[단애]를 이루는 부분은 대체로 주왕산 응회암, 그 상부의 완만한 층은 너구동층, 최상부는 무포산 응회암이다. 주왕산에서는 이처럼 각층의 암질에 따라 풍화와 침식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급애가 나타난다.
주왕산 일대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종으로 규정한 동물 중 총 25종[하늘다람쥐·대륙목도리담비·수달·삵·검독수리·붉은배새매·새매·황조롱이·검은등뻐꾸기·소쩍새·수리부엉이·솔부엉이·큰오색딱따구리·되지빠귀·표범장지뱀·무자치·실뱀·까치살모사·살모사·도롱뇽·두꺼비·북방산개구리·큰풍뎅이·사슴풍뎅이·톱사슴벌레]이 확인된다. 금은광이 일대에서 목본류로는 팥배나무·굴피나무·당단풍·고광나무·고추나무·딱총나무·층층나무·고로쇠나무·광대싸리·오갈피나무·좀깨잎나무 등이 자생한다. 초본류로는 대사초·산거울·꼭두서니·벌깨덩굴·고삼·노루오줌·제비꽃·애기똥풀 등이 자생한다.
주왕산국립공원 탐방 코스 중 장군봉-금은광이 코스, 월외 코스 1, 월외 코스 2의 명소 중 하나이다. 또한, 주왕산에서 영월 관풍헌(觀風軒)으로 이어지는 외씨버선길 13길 중 1길에 해당한다. 금은광이에서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능선부의 남동쪽 사면을 따라 다양한 규모의 급애가 형성되어 있다. 용추협곡을 비롯하여, 주왕산 기암 단애, 신선대, 학소대, 시루봉 등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다양한 지질명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