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246
한자 端午
이칭/별칭 수릿날,중오절,천중절,단양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풍습
의례 시기/일시 음력 5월 5일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풍속.

[개설]

청송군에서 단오는 설·대보름·추석 등과 함께 연중 4대 명절의 하나로 단오 절사(端午節祀)를 드리고 남녀 모두가 하루를 즐긴다.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이를 ‘수릿날’, ‘중오절(重五節)’,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 등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또한 단옷날을 수릿날이라고도 하는데, 수리란 신(神)이라는 뜻과 ‘높다’는 뜻으로 이것을 합치면 ‘높은 신이 오시는 날’이란 뜻이 된다.

[연원 및 변천]

중국 형초(荊楚) 지역의 풍속으로 전해지는 단오는 신라와 가야시대 이래로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다. 고려시대에는 그네, 격구 내지는 석전(石戰) 놀이를 하는 무용적(武勇的) 속절(俗節)로 성립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정조(正朝), 동지(冬至)와 아울러 3절일(節日)이 되었으며, 민간에서도 그네와 씨름이 성행하였다.

[절차]

예부터 단오에는 수리취떡을 마련하여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단오 절사(節祀)를 지낸다. 절사란 계절이나 명절이 바뀜에 따라 지내는 제사이다. 유사한 개념으로 차례(茶禮)가 있는데, 이는 음력 이나 매달 삭망일, 곧 초하룻날과 보름날 간단히 음식을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다례(茶禮)라고도 하고, 차사(茶祀)라고도 한다. 반면 절사는 사당이나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중국에 비해 산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墓祭)가 발달하였다. 그래서 , 한식, 단오, 추석 4대 명절에 주로 행하는 묘제를 절사라고 한다. 묘제의 한 형태로 행해져 온 단오 절사는 중국의 『주자가례(朱子家禮)』와는 형식이 다른 우리 고유의 제사 방식이며, 그 유래도 깊은 세시의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청송군에서는 단옷날에 여러 가지 풍속이 전해진다. 단오는 양기가 가장 양성한 날로 부적을 써서 간직하면 잡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부녀자들은 창포를 넣어 달인 물로 머리를 감고, 몸에 좋다고 하여 창포물을 마신다. 또한 미나리국을 먹는 풍습이 있으며 쑥이나 취 같은 초록색의 산채를 떡가루에 섞어 찧어서 수레바퀴 모양의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줄다리기 대회를 열기도 하였다. 당시의 상품은 양은 냄비 등이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