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1883년 진보향교회 답통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0570
한자 1883年眞寶鄕校會答通文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83년연표보기 - 「1883년 진보향교회 답통문」진보향교에서 작성
수급 시기/일시 1883년 - 「1883년 진보향교회 답통문」안동의 임천서당에서 수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 「1883년 진보향교회 답통문」『고문서집성 6 –의성김씨천상각파편(Ⅱ)-』(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에 영인 수록
소장처 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발급처 진보향교 회중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광덕리 지도보기
수급처 안동 임천서원 - 경상북도 안동시 호암2길 27[송현동 740 임천서원]
발견|발굴처 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성격 고문서
관련 인물 권태시
용도 통보
발급자 진보향교 회중
수급자 안동 임천

[정의]

1883년 5월 1일 진보향교 회중에서 안동의 임천서당으로 보낸 통문.

[개설]

1883년 5월 1일 진보향교 회중에서는 안동 임천서당으로 문의한 영양 남경대(攬景臺) 중건에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알리고 있다. 본문에 따르면 진보는 산택재(山澤齋) 권태시(權泰時)가 우거하던 고을이며, 남경대 역시 권태시가 학업을 수행하던 곳이라는 인연이 있었다. 또한 남경대를 수리하기 위한 계(稧)를 조직했을 때 진보의 사림들도 참여했었기에 현재의 후손들이 참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보았다.

[제작 발급 경위]

1882년 3월에 안동의 임천에서 보낸 통문이 1년이 지나서 진보향교에 도착하였다. 그래서 진보향교에서는 해당 글을 읽어보고, 그에 대한 의견을 적어서 회신하였다.

[형태]

가로 58㎝, 세로 88㎝에 낱장으로 된 문서이다. 글씨는 한자로 적혀 있다. 통문을 넣었던 피봉도 남아 있다.

[구성/내용]

이 문서는 안동 임천에서 보내온 통문에 대한 진보향교 회중의 답변으로서 유학(幼學) 이규화(李逵和) 외 27명이 연명하여 보내었다. 이들 회원은 이씨 2명, 신씨(申氏) 11명, 권씨(權氏) 7명, 정씨(鄭氏) 2명, 박씨(朴氏) 3명, 김씨(金氏) 2명, 안씨(安氏) 1명 등 신씨와 권씨가 주도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향교 도유사, 유사 등 교임들의 명단이 빠진 것으로 보아서 진보향교 전체의 의견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문서의 첫머리에는 ‘답통문’을 표기하여 본 문서의 성격을 알려준다. 아울러 이전 통문에서 언급한 진보현과 영양 남경대와의 관계 및 이전까지 진행되었던 중건 노력들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어서 답통이 늦은 이유와 진보향교 회중의 의견을 문서에 끝에 적고 있다. 남경대는 진보에 우거하였던 권태시와 관련된 곳이었다. 그래서 남경대를 중건하자는 의견을 안동에서 보내왔으나, 어떤 곳에서 막혀 있다가 1년이 지나서야 통문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진보향교에서는 남경대를 처음 건립할 때는 진보현 인사들이 관여하지 않았지만, 수십 년 전 고을 선배들이 남경대를 중건하는 계(稧)에 참여하였고, 자신들도 그 인연을 이어가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권태시 등 안동권씨 후손들이 진보에는 얼마 없고, 안동에 많으니 안동부의 사림들이 적극 나서고, 그 후손들도 그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일을 주관하는 사람이 필요하니 안동에서 주창하여 공론을 형성하고 이끈다면 진보에서도 참여하겠다고 답변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에는 건물의 건립과 수리 등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에 그것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계를 조직하거나, 여러 가문 등에서 부조를 받았다. 그러한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건축물이 다른 가문 내지 다른 고을 사족, 유학 상에 있어서 특별한 의미가 있어야 했다. 그래서 사족들의 여론을 수렴하여 공론을 만들고 자금을 모았다. 본 문서는 영양 남경대의 중건 과정과 갈등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 『고문서집성』 6 –의성김씨 천상각파편(Ⅱ)(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 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