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84
한자 扶餘消防署
영어공식명칭 Buyeo Fire St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계백로 17[외리 21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76년 3월 3일연표보기 - 부여소방서 공주소방서 부여소방파출소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99년 12월연표보기 - 공주소방서 부여소방파출소에서 논산소방서 부여파출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5년 1월 10일연표보기 - 논산소방서 부여파출소에서 부여소방서로 개칭
최초 설립지 공주소방서 부여소방파출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구아리 137-1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여소방서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계백로 17[외리 212]
현 소재지 부여소방서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계백로 17[외리 212]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041-830-0213
홈페이지 http://www.cn119.go.kr/buyeo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소방과 인명 구조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행정 기관.

[개설]

부여소방서(扶餘消防署)는 충청남도 부여군을 관할하는 충청남도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 행정 기관이다.

[설립 목적]

부여소방서는 각종 재난과 재해로부터 충청남도 부여군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부여소방서는 1976년 3월 3일 경찰 업무에서 소방 업무가 독립하면서 설립된 부여소방파출소에 기원을 두고 있다. 부여소방파출소는 공주소방서 관할로 ‘공주소방서 부여파출소’로 불렀다. 1997년 12월, 논산소방서가 개설되면서 공주소방서에서 논산소방서로 이전되었다. 이에 따라 ‘논산소방서 부여파출소’로 개칭되었다.

1995년 5월, 공주소방서 관할의 임천파출소가 개소되었고 1997년 12월에는 임천파출소도 논산소방서의 관할이 되었다. 부여파출소는 관할 구역이 부여읍, 홍산면, 구룡면, 내산면, 석성면, 외산면, 옥산면, 은산면, 초촌면, 남면, 규암면이고 임천파출소는 임천면, 세도면, 양화면, 충화면, 장암면이었다.

2002년 11월 부여소방서가 설치 승인됨에 따라 논산소방서에서 독립되었고, 2005년 1월 10일 부여소방서가 설립되었다. 2004년 12월 「충청남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 규칙」에 따라 부여소방서는 부여군과 서천군 일원을 관할하였으나 2008년 1월 서천소방서가 개설되면서 관할 구역이 부여군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여소방서는 화재의 예방과 진압, 구급과 구조 활동, 화재의 조사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소방 안전 교육을 실시하여 안전 의식을 대중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현황]

부여소방서는 부여군 내를 관할 구역으로 하고 있다. 2023년 현재 부여소방서는 소방행정팀, 예산장비팀, 의용소방팀으로 이루어진 소방행정과, 대응총괄팀, 예방총괄팀, 소방특별조사팀로 구성된 대응예방과, 구조구급팀과 현장지휘팀의 현장대응단으로 조직되어 있고, 5개의 119안전센터가 편성되어 있다. 현장대응단[119구조구급센터]은 부여군 일원이 담당 구역이다.

외산 119안전센터는 외산면·내산면·구룡면, 백제 119안전센터는 규암면·은산면·장암면 일원, 사비 119안전센터는 부여읍·석성면·초촌면 일원, 임천 119안전센터는 임천면·충화면·양화면·세도면 일원, 홍산 119안전센터는 홍산면·옥산면·남면을 관할하고 있다.

부여소방서의 인원은 총 203명이며, 펌프차 8대, 물탱크 4대, 굴절차 1대, 행정차 1대, 화물차 1대, 지휘차 1대, 다목적차 9대, 구급차 6대, 구조차 2대, 기타 7대 등 총 41대를 보유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여소방서는 각종 소방 행정과 응급 구조, 소방 안전 교육을 통하여 부여군민의 안전과 재산 보호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부여소방서(http://www.cn119.go.kr/buye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