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황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32
한자 昌原 黃氏
영어공식명칭 Changwon Hwa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1562년 - 황신 출생
입향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황신 부여 입향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1617년 - 황신 사망
본관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입향지 수락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송곡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황병고(黃丙古)
입향 시조 황신(黃愼)

[정의]

황락을 도시조로 하고 황신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세거 성씨.

[연원]

창원 황씨(昌原 黃氏)의 도시조는 중국 한(漢)나라의 장군이던 황락(黃洛)이다. 황락은 사신으로 교지국(交趾國)[베트남]에 다녀오던 중 풍랑을 만나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에 표류하였고, 황락의 셋째 아들인 황병고(黃丙古)가 창원백(昌原伯)에 책봉되어 후손들이 창원을 본관으로 삼았다.

창원 황씨는 이후 고려 충정왕 때 회산군(檜山君)에 책봉되고 문하평장사를 역임한 황석기(黃石奇)[?~1364]가 파조인 공희공파(恭僖公派), 시중을 역임한 황충준(黃忠俊)[?~?]가 파조인 시중공파(侍中公派), 황양충(黃亮沖)[?~?]이 파조인 호장공파(戶長公派) 등으로 분파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입향 경위]

창원 황씨 부여 입향조는 공희공파 후손인 황신(黃愼)[1562~1617]이다. 황신은 1607년(선조 40)에 당시의 정치 현실에 회의를 느껴 처가가 있는 부여로 낙향하였는데, 장인인 원천군(原川君) 이휘(李徽)로부터 노비 등을 별급(別給) 받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 황신은 처음에는 부여의 수락(水落)[현 부여읍 송곡리]에 정착하였고, 이후 천정대(天政臺)[현 규암면 호암리]로 옮겼다가 창두지(倉頭地)[부여읍 저석리]에 정착하였다. 황신은 동생 황척(黃惕)의 아들 황일호(黃一皓)[1588~1641]를 양자로 입적하였으며, 황일호는 후일 부여의 의열사(義烈祠)에 향사되었다. 이후 후손들 다수가 부여에서 선영을 조성하고 집성촌을 형성하며 지역의 유력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현황]

창원 황씨부여군 외산면 비암리, 홍산면 북촌리, 석성면 비당리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1987년에 발간된 『부여군지』에 따르면 부여군의 창원 황씨는 총 218호이며, 20호 이상 거주지로는 부여읍 56호, 규암면 21호, 은산면 24호, 외산면 38호, 세도면 20호, 석성면 29호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부여 창원 황씨 관련 유적으로는 부여읍 저석리황신을 배향하는 창강서원(滄江書院)황신의 묘소가 있으며, 창강서원에는 황신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부여읍 가증리황일호를 배향하는 지소사(之所祠)와 황일호 신도비, 황일호의 아들 황진(黃璡)의 정려각이 있다. 부여읍 용정리에는 재실인 술선재(述先齋)와 아술당(蛾述堂)이 있는데, 아술당은 서울의 도봉구에 있던 것을 1971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