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23
한자 朴寧熙
영어공식명칭 Pak Yeonghui
이칭/별칭 박두희(朴斗熙),박영섭(朴寧燮),박장섭(朴章燮)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6년 12월 28일연표보기 - 박영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5년 - 박영희 만주로 망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8월 - 박영희 북로군정서 주요 간부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0월 18일 - 박영희 청산리 전투에 김좌진의 부관으로 참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1월 - 박영희 대한독립군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24년 5월 - 박영희 대한독립군단 행정부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25년 3월 - 박영희 신민부 보안사령관 교관에 임명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박영희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출생지 가곡리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휘문의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서동 관상감 터
학교|수학지 신흥무관학교 - 남만주 통화현 제6구 합니하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성동사관학교 교관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박영희(朴寧熙)[1896~?]는 1896년 12월 28일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에서 태어났다. 휘문의숙 재학 중이던 1915년 이시영(李始榮)을 따라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에 입교하여 수학하였고, 졸업과 동시에 신흥무관학교의 교관 및 학도감으로 활동하였다.

박영희는 1919년 8월 7일 정의단을 개편하여 군정부를 조직할 때 서일(徐一)·현천묵(玄天默)·김좌진(金佐鎭)·계화(桂和)·이장녕(李章寧)·김규식(金圭植)·이범석(李範奭) 등과 같이 주요 간부로 참여하였다. 북로군정서에서 왕청현에 설치한 사관연성소의 학도단장을 맡아 사관생도를 모집하여 단기 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1920년 10월 18일에는 청산리 대첩에서 김좌진의 부관으로 참전하였다. 박영희는 1924년 1월 대한독립군단에 가입하여 김좌진·신일헌(申日憲)·한함산(韓咸山)·최대갑(崔大甲)·조생갑(趙生甲) 등과 함께 항일 투쟁을 강화하였으며, 1924년 5월 행정부장에 임명되었다. 1925년 3월 영안(寧安)에서 김좌진·김혁(金赫) 등이 중심이 되어 신민부를 조직할 때 김좌진·남성극(南星極)·최호(崔灝)·유현(劉賢) 등과 같이 대한독립군단 대표로 참가하였고, 신민부의 보안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군사 활동에 주력하였다. 신민부에서 목릉현 소추풍에 성동사관학교를 설립하고 연 2기 속성 군사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백종열(白鍾烈)과 함께 교관으로서 성동사관학교 생도들의 군사 교육에 진력하였다.

소련과 교섭하여 항일 운동의 협조를 받고자 신민부에서 박영희를 공산당 극동본부가 있는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하였는데, 1927년 체포되어 1930년 고루지게에서 피살되었다고 전한다. 일본 경찰의 정보 기록에 따르면, 1932년 1월 가곡리에 사는 친척 형이 모스크바에서 온 서신을 받았다고 한다. 박영희박두희(朴斗熙), 박영섭(朴寧燮), 박장섭(朴章燮)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영희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