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67
한자 禰軍
이칭/별칭 온(溫)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기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613년연표보기 - 예군 출생
활동 시기/일시 660년 7월 - 예군 웅진도독부 사마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670년 7월~672년 9월 - 예군 당나라 사신으로 신라에 파견되었다가 억류
활동 시기/일시 672년 11월 21일 - 예군 종3품 우위위장군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678년 2월 19일연표보기 - 예군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678년 10월 2일 - 예군 장사 시 당 고종이 견포 300단 및 조 300곡 하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중국 서안시에서 예군의 두 살 아래 동생 예식진의 무덤과 가족 묘역 발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예군 묘지석 발견
성격 관리
성별
대표 관직 좌평|웅진도독부 사마

[정의]

충청남도 부여 지역을 수도로 한 백제 사비 시기의 관리.

[가계]

예군(禰軍)[613~678]의 성은 예씨(禰氏)이고, 자는 온(溫)이다. 웅진(熊津) 우이(嵎夷) 출신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복(禰福), 할아버지는 예예(禰譽)이며, 아버지는 예선(禰善)이다. 모두 백제의 제1품 좌평(佐平)을 지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에는 이름이 전혀 보이지 않고, 다만 신라본기 문무왕 10년[670년] 7월 조, 문무왕 11년 7월 조, 문무왕 12년 9월 조 등에 ‘웅진도독부 사마(司馬) 예군(禰軍)’이라는 이름이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 권27 천지기(天智紀) 4년 9월 조에 ‘우융위낭장(右戎衛郎將) 상주국(上柱國) 백제(百濟) 예군(禰軍)’으로 이름이 실려 있다.

[활동 사항]

예군은 613년(무왕 14)에 태어났다. 660년 7월, 나당 연합군이 백제 사비성을 함락시켰다. 예군은 웅진 방령(方領)이던 아우 예식진(禰寔進)과 함께 웅진성으로 피신한 의자왕을 사로잡아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에게 바쳤다. 예군의자왕을 사로잡아 바친 공으로 당나라가 백제 땅에 설치한 웅진도독부의 사마에 임명되었다. 예군의 묘지석에는 “지난 현경(顯慶) 5년, 660년에 천자의 군대가 본국을 토벌한 날에 기미를 보고 장차 닥칠 변화를 알아차리고 군사를 일으켜 귀순할 바를 알았다. 이는 유여(由余)가 서융(西戎)에서 탈출한 것과 비슷하고 금제(金磾)가 한나라에 들어간 것과 같다. 성상께서 가상히 여기고 감탄하여 영광스러운 반열에 발탁하여 우무위산천부절충도위(右武衛滻川府折衝都尉)에 임명하였다”라는 구절이 있어, 백제가 멸망할 때 예군이 당나라에 매우 협조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구당서(舊唐書)』 권83 소정방전에는 “그 대장 예식(禰植)이 또한 의자(義慈)를 거느리고 와서 항복하였으며 태자 과 나머지 여러 성주가 모두 함께 보내졌다”라는 기록이 있고, 『신당서(新唐書)』 권111 소정방전에는 “그 장군 예식이 의자와 함께 항복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예식은 예군의 아우 ‘예식진’을 가리키는데, 예식진은 당나라에서 출세하여 정3품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에까지 올랐다.

예군은 670년 7월에는 당나라의 사신으로서 신라에 파견되었다가 2년간 억류되었으며, 672년 9월 풀려난 뒤 672년 11월 21일 궁궐 경비를 담당하는 종3품 우위위장군(右威衛將軍)에 임명되었다. 예군은 66세이던 678년 2월 19일 옹주(雍州) 장안현(長安縣) 연수리(延壽里) 사저에서 사망하였다. 678년 10월 2일 건봉현(乾封縣) 고양리(高陽里)에 장사 지냈는데, 당 고종이 견포(絹布) 300단(段)과 조 300곡(斛)을 내려 주었다.

예군의 묘지명과 『구당서』 기록에 의거하여 웅진 방령 예식이 예군과 함께 웅진성으로 피난 온 의자왕을 사로잡아 당나라군에 항복하였으며, 그 공로로 당나라에서 출세할 수 있었다고 본다. 예군의 근거지는 우이가 사비로 비정되므로, 사비 지역으로 본다.

[묘소]

2006년 중국 서안시에서 예군의 두 살 아래 동생 예식진의 무덤과 가족 묘역이 발견되었고, 「예식진묘지명(禰植進墓誌銘)」이 출토되었다. 2011년에는 도굴되었던 예군의 묘지석이 발견되었다. 「예군묘지명(禰軍墓誌銘)」은 개석(蓋石)과 지석(誌石)이 모두 잘 남아 있는데, 개석은 가로 63㎝, 세로 65㎝, 두께 12㎝ 크기이고, 지석은 가로, 세로 모두 59㎝, 두께 10㎝ 크기이며, 31행 30열 884자가 새겨져 있다. 예군이 죽은 678년에 만들었으며, 내용은 선조와 가계, 활동과 업적, 죽음과 장례, 명문 순으로 정리하였다. 2022년 현재 서안박물원(西安博物院)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