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196
한자 保寧‒綜合‒
영어공식명칭 Boryeong Bus Terminal
이칭/별칭 보령공영종합터미널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터미널길 8[궁촌동 34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7월 - 보령버스종합터미널 착공
준공 시기/일시 2006년 4월 - 보령버스종합터미널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6년연표보기 - 보령버스종합터미널 개장
현 소재지 보령버스종합터미널 - 충청남도 보령시 터미널길 8[궁촌동 347]지도보기
성격 버스터미널
면적 14,105㎡[대지면적 ]|9,173㎡[건물면적]
전화 보령버스종합터미널[1688-0137]
홈페이지 보령버스종합터미널(http://www.boryeongbus.com)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궁촌동에 있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용터미널.

[개설]

최근 버스종합터미널은 일반적으로 고속버스, 시외버스 등이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새로운 대단위 주거지, 고속도로 나들목, 철도역 등으로의 접근도가 모두 높은 곳에 새로이 이전하여 자리하고 있다.

보령시의 경우도 중심 시가지 분화, 서해안고속국도 나들목 입지, 국도의 확포장 및 직선화, 장항선 이설로 인한 대천역사 이전, 대천해수욕장 방문객 급증 등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영형 버스종합터미널을 새로운 자리에 건립하게 되었다.

[건립 경위]

보령버스종합터미널은 2006년에 보령시 구도심 시가지에서 교통 혼잡과 대천역 이전 등으로 인한 이용객의 불편 해소와 시민의 편익 증진을 위하여 서해안 쪽으로 조금 근접한 궁촌동에 새로운 버스터미널을 준공하였다.

[변천]

새로운 버스터미널로의 이전 당시 버스터미널의 이름도 새로운 도시명을 따르고, 버스터미널의 규모를 고려하여 ‘대천터미널’에서 ‘보령버스종합터미널’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보령버스종합터미널은 공영종합터미널로 보령시 교통과[041-930-3961]가 관리주체이다. 버스터미널의 서남쪽 인근에는 신축 이전하여 온 대천역이 있다.

[구성]

순수 민자유치사업으로 2004년 7월 착공하여 2006년 4월 준공하였으며, 대천역세권 개발지구 내에 13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고, 대지 14,106㎡[4,267평], 연건평 9,173㎡[2,775평]에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은 대합실, 매표실 및 사무실 이외에 상가 65동을 비롯하여 주차시설 191대의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충남고속을 비롯한 3개 회사에서 1일 140회 운행하고, 1일 1,000여 명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현황]

보령버스종합터미널은 수도권, 충청권 및 호남권으로 통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고속버스의 경우 보령시에서 서울특별시 센트럴시티터미널까지 무정차하는 노선이 있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480이다.

시외버스는 수도권 방면, 호남권 방면 및 충청권 방면으로 운행되고 있는데, 수도권 방면으로는 고양, 서울남부, 동서울, 부천, 성남, 안산, 안양, 인천, 인천공항 노선이 운행되고, 호남권 방면으로는 군산, 전주, 광주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충청권 방면으로는 계동, 고북, 공암, 공주, 광천, 구룡, 규암, 남포, 내산, 내포신도시, 논산, 대교, 대천해수욕장, 대치, 도화담, 대전, 마치, 목면, 봉강교, 부여, 비인, 서대전, 서산, 서천, 성주, 신례원, 신창, 십자가, 아산, 안심, 양정, 연무대, 연산, 예산, 외산, 우성, 웅천, 유성, 음봉, 장항, 정산, 종천, 주교, 주산, 주정, 주포, 천안, 청라, 청소, 청양, 태안, 학성, 한산, 해미, 혜천대학, 홍성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